사회 사회일반

자동차 수리는 서비스 '최악', 택시는 안전성 '최악'

31개 주요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평가결과




한국소비자원이 4일 공개한 ‘2019 소비자 시장평가지표’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들은 31개 주요 상품·서비스 시장 가운데 자동차 수리 서비스를 최악으로 평가했다. 반면 일반 병·의원 진료 서비스에 최고점을 줬다.

31개 주요 서비스 시장에 대한 소비자 평가는 100점 만점에 평균 77.6점으로 2017년의 77.8점보다 0.2점 하락했다. 자동차 수리 서비스가 76.1점으로 최하위 평가를 받았다. 자동차 수리 서비스는 2015년부터 3년째 꼴찌를 면치 못했다. 이어 공연 관람 서비스가 76.4점으로 두 번째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소비자 평가가 가장 높은 분야는 79.9점을 받은 일반 병·의원 진료 서비스였다. 선택의 다양성과 신뢰성, 기대 만족도 부문 모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일반 병·의원 진료 서비스는 특히 60대 이상 소비자들에게 가장 높은 81.4점을 받았다.


31개 시장 중 개선이 시급한 ‘경고 시장’으로 분석된 것은 자동차 수리 서비스와 성인 교습학원, 공연 관람 서비스 등 3개였다.

관련기사



2017년과 비교해 가장 큰 폭으로 개선된 시장은 주택 수리·인테리어 시장이었다. 이 부분은 올해 78.8점으로 2위에 올랐는데 최근 인테리어 애플리케이션 등 정보 접근이 쉬워지면서 비교 용이성 부문이 크게 개선됐다. 그러나 소비자 피해 경험률은 7.9%로 크게 증가해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조사 결과에서는 2017년 조사 때보다 가격과 전환성의 점수는 높아지고 안전성 점수는 하락했다. 가격 면에서는 일반 병·의원 진료 서비스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고 안전성 면에서는 택시 이용 서비스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한국소비자원은 개별 시장이 얼마나 소비자 지향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평가한 ‘2019 소비자 시장평가지표’를 해마다 조사 발표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올 상반기 31개 서비스 시장의 구매·이용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의 소비자를 시장별로 1천명씩 3만1천명 추출해 7월 24일∼8월 31일 개별 면접으로 이뤄졌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0.56%포인트며 개별 시장 별로는 표본오차가 ±3.10%포인트다.



강신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