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불매운동 직격탄…3분기 日 '온라인 직구' 증가폭 ↓

온라인 해외 직접판매액은 사상 최대

지난 8월 14일 오전 대전역 앞에서 잎담배 생산 농민들로 구성된 전국엽연초생산협동조합원들이 일본의 경제보복을 규탄하며 일본 담배 불매운동을 다짐하는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연합뉴스지난 8월 14일 오전 대전역 앞에서 잎담배 생산 농민들로 구성된 전국엽연초생산협동조합원들이 일본의 경제보복을 규탄하며 일본 담배 불매운동을 다짐하는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연합뉴스



일본 수출 규제로 인한 불매 운동의 여파가 ‘3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 및 구매 동향’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일본으로부터의 직접구매는 급격하게 감소한 반면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여파로 감소했던 중국인 관광객이 다시 늘어나면서 온라인 해외 직접판매액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3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 및 구매 동향’에 따르면 3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구매액은 8,420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21.0% 증가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4,119억원으로 전체의 48.9%를 차지했다. 이어 유럽연합(EU) 1,947억원, 중국 1,583억원, 일본 472억원 등을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 일본 직접구매액 증가율은 2분기만 해도 32.0%였으나 3분기에는 2.3%로 크게 줄었다. 전분기 대비 25.9% 감소한 수치다. 양동희 통계청 서비스업동향과장은 “일본으로부터의 직접구매액 감소는 지난 7월 일본의 수출 규제에 따라 촉발된 불매운동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상품군별 직구 동향에서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이 전체의 37.6%인 3,162억원을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음·식료품 2,288억원, 가전·전자·통신기기 978억원 등이었다.

아울러 올해 3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판매액은 2014년 관련 통계 작성 시작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판매액은 지난해 3분기보다 65.2% 늘어난 1조 5,156억 원이었으며 이 중 면세점 판매액은 1조 3,364억원으로 75.4% 증가했다. 해외 직접판매액의 급증에는 사드 영향이 사라지고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가 급증한 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국가별 판매액을 보면 중국이 1조 3.157억원으로 전체의 86.8%였다. 이어 일본 556억원,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522억원, 미국 519억원 등의 순이었다. 상품군별로 보면 화장품이 1조 2,737억원으로 전체의 84.0%였다. 이어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 1,385억원, 가전·전자·통신기기 254억원 등이었다.
/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신현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