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中企 80% "4차산업 준비 계획조차 못해"

중기중앙회 300개 기업 설문

4차 산업혁명 준비 수준                                                                                          *자료: 중기중앙회, 300개 중기 조사4차 산업혁명 준비 수준 *자료: 중기중앙회, 300개 중기 조사



4차 산업 혁명으로 산업에 미증유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지만 중소기업 10곳 중 8곳꼴로 ‘준비계획이 없다’는 충격적인 조사 결과가 나왔다.

4일 중소기업중앙회가 300개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대응 실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79.7%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준비 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립된 계획에 따라 실행하는 기업은 고작 3%에 그쳤고, 2~3년 내 계획을 마련할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10%에 머물렀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중소기업 인식은 지난해보다 오히려 퇴보했다. 지난해 10월 중기중앙회 조사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알고 있다’ 답한 중소기업은 39.5%였지만, 올해는 36.3%였다. 63.7%가 4차 산업혁명을 “모른다”고 응답한 셈이다. 기업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어려운 이유로 △전문인력 부족(28.7%) △투자 대비 효과 불확실(28.3%) △투자자금 부족(27.7%) △4차 산업혁명 교육 부족(19.3%) 등을 꼽았다.

관련기사



정부의 4차 산업혁명에 정책에 대해 아쉬움을 표현한 기업도 많았다. 응답 기업 22.7%는 정부 정책에 대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잘하고 있다’고 한 기업은 12.7%였다.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정부 정책의 문제점으로 ‘중소기업의 현실을 고려한 정책 부재’(72%)를 지적했다. 4차 산업혁명을 위해 정부 추진 과제로 △중소기업 맞춤형 컨설팅 지원 산업(53.7%) △투자·연구자금 관련 세제 혜택 등 지원(36.3%) △인재양성·근로자 재교육 지원(25.7%) 등을 꼽았다. 정욱조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정부가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중소기업 현장의 인식과 대응수준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