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젊은 과학자 등 기초연구에 내년 1조5,200억 지원한다..과기정통부 공모 착수

과기정통부, '내년 기초연구 지원안

올해보다 3,200억여원 늘어

포닥-신임교원 지원 강화

신분야 개척 집단연구 확대

수학부터 분야별 지원 전환

제재확대 등 연구윤리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내년 기초연구에 1조5,200억원을 지원하기로 하고 공모에 착수했다고 7일 밝혔다. 개인연구 1조 2,408억원, 집단연구 2,789억원으로 전년 대비 3,191억원 증액된 1조 5,197억원 규모다.

기초연구 사업은 연구자들이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주제를 자유롭게 제안하고 평가해 지원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과기정통부는 우선 젊은 과학자 등 우수연구자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박사후 연구원과 신임 교원 등을 지원하는 ‘신진연구사업’의 연구비 단가를 1억원에서 1조5,000억원으로 높이고 신규 과제도 올해 591개에서 내년 765개로 30% 가까이 확대했다. 신진연구 예산은 올해 1,434억원에서 내년 2,246억원으로 늘어난다.

◇과기정통부 기초연구 지원사업

개인연구 우수연구
신진연구
(~1.5억)
중견연구
(~4억)
리더연구
(8억 내외)
생애기본연구
생애첫연구
(~0.3억)
기본연구
(~0.5억)
재도약연구
(~0.5억)
집단연구 집단연구
기초연구실
(3~4인, ~5억)
선도연구센터
(10인 내외, ~20억)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자를 지원하는 ‘중견연구사업’(연 4억원 이내)의 상반기 신규과제도 올해 961개에서 내년 1,300개 정도로 많이 늘어난다. 중견연구 예산은 올해 6,470억원에서 내년 7,519억원으로 1,049억원 확대된다.

과기정통부는 신분야 개척과 주력산업 지원 등을 위한 집단연구 지원도 늘리기로 했다.


3~4인의 소규모 집단연구를 지원하는 ‘기초연구실사업’의 신규과제 지원을 올해 34개에서 내년 130개로 크게 늘린다. 젊은 연구자들이 새로운 연구분야에 도전하는 ‘개척형 기초연구실’, 주력산업의 핵심기술 확보 및 자립화를 지원하는 ‘돌파형 기초연구실’ 등의 과제도 지원한다. 기초연구실 예산은 올해 700억원에서 내년 1,079억원으로 늘어난다.

관련기사



◇내년 과기정통부 기초연구 지원사업

사 업 2019년 예산(A) 2020년 예산(B) 증감액(B-A) 증감률
합 계 1,200,625 1,519,748 319,123 26.6%
【개인연구】 979,600 1,240,838 261,238 26.7%
우수연구 ㅇ 리더연구 55,205 73,756 18,551 33.6%
ㅇ 중견연구 647,027 751,888 104,861 16.2%
ㅇ 신진연구(최초혁신실험실 포함) 143,368 224,565 81,197 56.6%
생애기본연구 ㅇ 재도약연구 20,000 12,605 △7,395 △37.0%
ㅇ 기본연구 60,000 141,530 81,530 135.9%
ㅇ 생애첫연구 54,000 36,494 △17,506 △32.4%
【집단연구】 221,025 278,910 57,885 26.2%
ㅇ 선도연구센터 151,044 171,010 19,966 13.2%
ㅇ 기초연구실 69,981 107,900 37,919 54.2%
*2020년도 정부예산(안) 기준으로 국회 예산심의 후 변동 가능

내년 수학분야를 시작으로 내후년에는 전 분야로 ‘학문분야별 지원체계’로의 전환도 추진한다. 과제 접수 전에 분야별 예산을 할당하고 학문 특성에 맞게 프로그램 조정과 신설을 하기 위해서다. 그동안에는 과제 접수 이후에 신청과제 수 등을 고려해 학문 분야별로 예산을 배분했다. 이를 위해 수학회, 통계학회 등이 나서 수요 분석과 의견 수렴을 거쳐 내년 467억원의 예산을 수립했다.

연구윤리 의식을 높이고 연구부정에 대한 제재도 강화한다.

신진연구자에게 연구윤리, 연구비 집행방식 등에 관한 현장교육을 확대하고 연구책임자에게 사이버 연구윤리교육을 의무화한다. 최근 3년 이내 연구부정을 저지른 연구자가 신규과제를 신청하면 총점의 10%를 감점한다.

과기정통부 측은 “개인연구는 12월 6일, 집단연구는 내년 1월 6일 접수를 마감하고 선정되면 각각 3월 1일, 6월 1일 연구를 개시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내년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사업 신규과제 공모내용과 추진일정은 과기정통부와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