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물옥잠에서 전립선암 세포 죽이는 미생물 발견

낙동강생물자원관에서 의약품 소재개발 연구착수

경북 상주시에 있는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서 물옥잠(사진)에 공생하는 신종 미생물에서 전립선암 세포(LNCaP) 사멸 효과를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이와 함께 항암 식 의약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후속 연구에 들어갔다.

연구진은 물옥잠이 동의보감에서 약재로 사용했다는 것에 착안했다. 물옥잠의 생리활성 물질이 실제로는 공생하는 미생물에서 나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2018년부터 관련 연구를 진행했다.


이에 낙동강에 서식하는 물옥잠에서 공생 미생물 총 74 균주를 분리하고 다양한 효능을 평가했다.

물옥잠의 뿌리에 공생하는 미생물의 분리과정에서 신종으로 추정되는 마이크로모노스포라 속 미생물을 확인했으며, 신종 미생물 배양액을 이용해 항암 활성을 평가했다.


이번에 발견한 신종 미생물을 25℃에서 2주간 배양하고 배양액을 이용해 흑색종 세포(B16-F10), 백혈병 세포(U937), 전립선암 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을 측정했다.

관련기사



측정 결과, 신종 미생물의 배양액을 100㎍/ml로 처리했을 때 전립선암 세포를 약 50% 죽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립선암 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이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한 국내 특허를 올해 8월 ‘항균 및 항암 기능을 가지는 물옥잠 분리 마이크로모노스포라 속 엠(M)2 균주 및 이외 용도’라는 이름으로 출원했다.

이와 함께 항암 효과가 확인된 이번 신종 미생물 배양액에서 항암 물질의 분리, 구조 분석, 기작 연구 등 식 의약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정남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미생물연구실장은 “이번 연구는 생물 소재 연구의 대상을 담수 유래의 공생 미생물로 확대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상주=이현종기자 ldhjj13@sedaily.com

물옥잠에서 발견한 전림선암 세포를 죽이는 효과가 큰 것으로 밝혀진 미생물을 확대한 사진물옥잠에서 발견한 전림선암 세포를 죽이는 효과가 큰 것으로 밝혀진 미생물을 확대한 사진




수생식물인 물옥잠수생식물인 물옥잠


이현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