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트럼프, "중국이 우리와 합의하지 않으면..." 추가 관세 부과 예고

2019년 6월 2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이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만난 모습 /연합뉴스2019년 6월 2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이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만난 모습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의 무역협상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중국 제품 관세를 더욱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터·AFP 통신과 백악관 기자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각료회의를 앞두고 한 발언에서 “중국은, 내가 좋아하는, 합의를 해야 할 것”이라며 “그들이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그걸로 끝이다(that‘s it)”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중국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고 중국이 “움직이고 있다”고 평가했지만 “만약 우리가 중국과 합의하지 않는다면 난 그저 관세를 더 높일 것”이라고 언급했다.


앞서 미국과 중국은 지난달 10∼11일 제13차 고위급 무역 협상에서 ’1단계 합의‘에 상당한 진전을 이뤘지만, 정상 간 서명을 위한 세부 협상 타결에 난항을 겪고 있다. 양측은 이달 칠레에서 열릴 예정이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 간에 공식 서명을 위해 접촉해왔다. 하지만 칠레가 국내 시위를 이유로 APEC 정상회의 개최를 포기해 협상 진로가 불투명해졌었다.

관련기사



로이터는 협상 쟁점과 관련해 “관세 인하 방법과 시기, 그리고 중국이 얼마나 많은 미국산 농산물을 사기로 약속할 것인지가 난제”라고 전망했다. AFP는 “트럼프의 강경 언급은 무역전쟁 열기를 식히는 1단계 합의에 도달하려는 두 경제 강국의 시도에 진전 조짐이 있는지 시장이 주시하는 가운데 나왔다”고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이날 인디애나폴리스 지역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홍콩 시위 폭력 사태가 무역 합의를 어렵게 만든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발언한 점을 전했다. 펜스 부통령은 “(트럼프)대통령은 만약 폭력 사태가 있거나 이 문제가 적절하고 인도적으로 다뤄지지 않을 경우 중국과 합의가 매우 어려우리라는 것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미국은 그동안 홍콩의 시위대 강경 진압과 이를 지지하는 중국 중앙정부를 비판해왔다.

한편 당초 미국은 지난달 15일부터 2,5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 관세율을 25%에서 30%로 인상할 계획이었지만 1단계 합의에 따라 관세율 인상을 보류했다. 미국은 2018년 7월 6일 이후 3,600억 달러(약 416조원)어치의 중국산 제품에 최고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정수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