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경복궁 정자 '향원정'서 도넛형 온돌 발굴돼

고종 때 조성된 경복궁 향원정

6각 정자 가장자리 따라 도넛형 온돌 발견

보물 제1761호로 지정된 경복궁 향원정의 온돌 발굴조사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보물 제1761호로 지정된 경복궁 향원정의 온돌 발굴조사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



정자(亭子)는 주변 경관을 감상하기 위해 지은 건물이라 벽 없이 기둥과 지붕만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드물게 바닥 일부에 온돌방을 둔 정자가 있지만 궁궐 정자로는 드물게 경복궁 향원정의 온돌구조가 확인됐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와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지난 9월부터 경복궁 향원정 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 독특한 온돌구조와 건물의 침하원인을 밝혀냈다고 20일 밝혔다. 보물 제1761호로 지정된 경복궁 향원정(보물 제1761호)은 고종 4년인 1867~73년 사이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경복궁 후원 영역에 네모난 연못을 파 섬을 만들어 조성한 상징적인 2층 정자 건물이다. 주춧돌부터 평면, 지붕까지 육각형을 이루며 섬세한 미감, 뛰어난 비례미가 돋보이는 정자다.

관련기사



조사에 따르면 향원정의 온돌구조는 육각형 건물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넛 형태로 제작됐다. 온돌바닥은 콘크리트로 덮여 있어 주요시설인 구들장은 남아 있지 않았으나 고래둑·개자리·연도(煙道) 등이 확인됐다.

경복궁 향원정. /사진제공=문화재청경복궁 향원정. /사진제공=문화재청


또 향원정의 6개 기둥 중 동남방향 초석을 조사한 결과 받치고 있던 초반석에 균열이 발생한 것이 확인됐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초석의 침하현상이 건물 기울어짐의 주요 원인이었음을 알게 돼 향후 진행될 향원정 보수사업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향원정은 해방 이후 수차례 보수를 거쳤지만 계속해서 기울어짐과 뒤틀림 현상이 발생했다.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