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만파식적]부건빌

몇 해 전 세계 2위 광산업체인 호주의 리오틴토가 파푸아뉴기니 내전을 배후에서 조종했다는 의혹이 호주의 한 방송사에 의해 폭로됐다. 리오틴토가 1996년 자회사인 부건빌코퍼를 통해 파푸아뉴기니 정부군이 부건빌의 반군세력을 유혈 진압하도록 사주했다는 것이다. 당시 부건빌 주민들은 구리광산에서 나오는 이익이 중앙정부와 리오틴토에만 돌아간다며 무장투쟁을 벌였지만 결국 2만여명의 주민이 사망하는 아픔을 겪어야 했다. 이 과정에서 영국 특수부대원 출신의 용병들까지 대거 정부군에 가담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을 빚었다.


부건빌은 남태평양 파푸아뉴기니의 자치섬이며 면적이 9,300㎢로 제주도(1,848㎢)의 5배 크기다. 1768년 프랑스 해군이자 탐험가인 루이 앙투안 드 부갱빌이 처음으로 발견해 자신의 성을 따라 지명으로 삼았다고 한다. 19세기 말에는 독일 식민지로 편입되면서 ‘저먼 뉴기니’라는 이름으로 통용되기도 했으며 제1차 세계대전을 즈음해 호주령으로 편입된 후 한때 일본의 점령을 받기도 했다. 이후 1957년 파푸아뉴기니 본섬과 함께 호주로부터 독립해 자치구로 남게 됐다.

관련기사



0ㅇ



작은 섬이 주목을 받는 것은 세계 최대의 노천 구리광산 ‘팡구나’ 때문이다. 내전을 거치며 폐광됐지만 지금도 구리 530만톤과 금 1,930만온스가 묻혀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호주는 식민지 시절 부건빌에서 구리를 집중적으로 채취해 갔으며 최근에는 미국과 중국이 전략적 거점으로 삼아 인프라 건설에 나서는 등 막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하지만 환경 오염과 비용 문제까지 겹친 구리광산의 복원 여부를 놓고 중앙정부와 지역민들의 이해관계가 맞서 갈등을 빚고 있다.

부건빌이 30만여명의 주민을 상대로 독립을 묻는 주민투표를 실시한다는 소식이다. 12월7일까지 800여개 장소에서 치러지는 투표 결과에 따라 독립이 성사되면 또 하나의 미니 국가가 탄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파푸아뉴기니가 독립을 쉽게 용인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 또 다른 갈등의 불씨로 작용할 가능성도 크다. 오랜 식민지와 내전, 그리고 강대국의 간섭에 시달린 작은 섬나라의 운명을 보노라면 ‘자원의 비극’을 떠올리게 된다. 정상범 논설위원

정상범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