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인니를 동남아 공략 전초기지로…현대차 '글로벌 확장' 가속페달

[현대차, 인니에 완성차공장 건립]

CEPA 체결로 철강·車부품 관세 철폐…가격 경쟁력도 높아

생산능력 향후 연25만대로 늘리고 '옴니 채널 서비스' 추진

개발서 판매까지 철저한 현지화로 '일본차 텃밭'서 승부수




“동남아시아의 자동차 시장은 일본이 90% 이상 장악하고 있습니다. 일본 브랜드만 있는 독특한 시장입니다. 하지만 전략을 잘 짜면 성공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지난 9월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이 미국 뉴욕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현대차가 관심을 기울일 새로운 시장으로) 동남아와 아프리카를 보고 있다”며 한 말이다. 중국과 인도 등 잘나가던 신흥 대국들의 수요가 고꾸라졌고, 유럽과 미국 등 선진시장 판매도 겨우 현상유지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성장시장을 개척하겠다는 정 수석부회장의 의지였다.




정의선(왼쪽)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이 26일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에게 전기차 코나 일렉트릭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그룹정의선(왼쪽)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이 26일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에게 전기차 코나 일렉트릭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그룹


■동남아를 신성장 동력으로

현대차가 26일 인도네시아에 완성차 공장을 짓기로 한 것은 새로운 시장에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려는 정 수석부회장의 ‘신성장 확장 전략’의 시작이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증가 추세를 보였던 중국과 인도의 승용차 판매는 올 들어 3·4분기까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5%, 16.4% 감소하며 휘청거리고 있다. 유럽과 미국 등 선진시장도 같은 기간 1.1%, 1.6% 줄어 기존 수준을 겨우 유지하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현대차그룹은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동남아 자동차 시장에 주목했다. 실제 아세안 지역의 자동차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아세안 지역 자동차 판매량은 2015년 약 307만대 수준에서 2016년 316만대, 2017년 334만대, 지난해 356만대로 증가했다. 특히 인구가 약 2억7,000만명으로 세계 4위인 인구 대국이자 연 5%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인도네시아는 115만1,291대로 아세안 지역 판매량 1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태국(104만1,739대), 말레이시아(59만8,714대)도 상당한 수준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오는 2026년 아세안 자동차 시장 규모가 약 449만대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신남방정책과 현대차의 신시장 개척 의지가 맞물려 인도네시아 신공장이 현실화했다”며 “최근 실질 타결된 양국 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또한 현지화가 어려운 일부 자동차 강판과 부품 관세를 없애 가격경쟁력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바흐릴 라하달리아(왼쪽부터)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장,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 이원희 현대차 사장이 26일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에서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 설립을 위한 투자협약서에 서명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그룹바흐릴 라하달리아(왼쪽부터)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장,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 이원희 현대차 사장이 26일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에서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 설립을 위한 투자협약서에 서명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그룹


현대차는 인도네시아 공장을 동남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전초기지로 삼을 계획이다. 2021년 가동하는 인도네시아 공장의 생산능력을 연 15만대로 시작한 뒤 향후 25만대까지 늘려 신시장 개척을 위한 전략적 교두보로 삼겠다는 것이다. 이곳에서 생산한 물량 중 약 50%를 인도네시아 내수시장에, 나머지 50%는 태국·필리핀·베트남 등 아세안 역내와 중동·호주 지역으로 수출할 계획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아세안 자유무역협약에 따라 부품 현지화율이 40% 이상이면 역내 완성차 수출 시 관세가 없다”며 “이 같은 이점과 중동·호주와 인접한 지리적 위치를 최대한 활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철저한 현지화로 日과 정면승부

물론 아세안 시장에서도 넘어야 할 산은 있다.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강력한 경쟁자인 일본 자동차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지난해 일본 자동차 브랜드의 내수시장 점유율이 97.5%에 이른다. 도요타와 다이하쓰·혼다·미쓰비시·스즈키 등 주요 업체들이 판매 1~5위에 굳건히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정 수석부회장은 시장 공략에 강한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그는 “확실한 전략만 있다면 점유율을 25%까지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업계에서는 제품 개발과 생산, 판매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철저히 현지화하는 것이 ‘확실한 전략’일 것으로 보고 있다.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도 이날 현대차 울산공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현대차가 인도네시아에 진출하면 인도네시아 국민들은 일본차 중심에서 현대차까지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혜택을 갖게 된다”며 “현대차의 투자가 꼭 성공하길 바라며, 완전 무공해인 수소전기차와 전기차가 매우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이미 아세안 전략모델 개발에 착수했고 국내 부품사와 현지 부품사 간 합작 및 기술제휴를 추진할 계획이다. 현지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부품 단계부터 현지화가 필수적이라는 계산에서다. .

생산·판매체계도 현지 고객에게 맞는 혁신적인 방식을 도입한다. 동남아에서는 자동차 구매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급격히 옮겨가는 추세다. 현대차는 이 같은 시장환경에 맞춰 모바일을 포함한 온라인에서도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옴니 채널 서비스’를 현지 최초로 갖추겠다는 생각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공장 가동 시점에 맞춰 인도네시아 전국 딜러망을 100개 이상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한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