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오래 유지될 특허는..KISTI, AI 예측모형 개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윤장혁 건국대 교수 연구팀과 함께 인공지능(AI) 기술로 특허의 장기유지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기업은 특허를 유지하기 위해 4년마다 연차료를 내야 하는데 미래 비즈니스 가치가 높은 특허만 ‘장기(20년)전략특허’로 선별해 운영한다. 장기전략특허를 등록·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은 한 건당 평균 1,557만원 정도다.


KISTI는 인공지능 예측모형을 통해 지난 1월부터 6월까지 최신 특허 16만건 가운데 장기유지될 확률이 높은 특허 1만6,776건을 선별했다.

관련기사



분야별로는 정보통신기술(ICT)·의료융합기술 분야에 장기전략특허가 집중됐다. 이 중 ‘로봇의료 시스템’ ‘정밀진단·이미징’ ‘의료통신 시스템’ ‘고기능 의료소재·기기’ ‘휴먼컴퓨터 인터페이스’ 등 기술과 관련된 특허가 많았다.

이와 함께 IBM·애플·구글·마이크로소프트 등 4대 글로벌 기업의 장기전략특허를 예측한 결과 공통적으로 ‘무선통신네트워크’와 ‘화상통신’ 분야에 특허가 집중된 것으로 분석됐다.

IBM은 ‘데이터 저장 기술’과 ‘헬스케어’ 분야, 애플은 ‘무선충전 기술’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바일용 카메라’ 등 스마트기기 분야, 구글은 ‘스마트홈’ ‘물리정보 센싱 기술’ 등 증강현실과 자율주행 기술 분야, 마이크로소프트는 ‘증강현실과 웨어러블 기기’ 분야에 특허를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재민 KISTI 책임연구원은 “기업이 경쟁기업의 장기 기술전략을 예측하고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광본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