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 제조업경기 예상밖 '반짝 호황'…계속 돈 풀어도 될까

정부 대대적 부양 정책 힘입어

제조업PMI 7개월만에 50 회복

LPR 인하·SOC투자 확대 유인

부채, GDP의 300%이상 추산

내부서도 리스크 우려 목소리

양적완화 드라이브 '진퇴양난'




지난 11월 중국 제조업 경기가 예상을 뒤엎고 7개월 만에 확장 국면으로 복귀했다. 금리 인하, 인프라 투자 확대 등 중국 정부의 대대적인 부양책의 결과로 해석된다. 다만 재정정책을 넘어 적극적인 양적완화 정책의 지속을 둘러싸고는 여전히 논란이다.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부채 리스크 때문이다.

1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1월 제조업 PMI는 50.2로 집계됐다. 이는 전달의 49.3보다 크게 개선된 것이다. 또 블룸버그가 집계한 시장 전문가 평균 예상치 49.5도 웃돌았다. 11월 생산지수는 전월보다 1.8포인트 오른 52.6을 기록했고 신규주문도 1.7포인트 상승한 51.3을 나타냈다. 중국 국가통계국 측은 “수개월 간의 수축 국면을 끝내고 확장 국면에 재진입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제조업 PMI는 올 5월부터 10월까지 줄곧 50 미만에 머물다가 이번에 7개월 만에 50 이상으로 회복됐다. 제조업 PMI는 신규주문·출고가·재고량 등에 대한 기업 대상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산출되는 지표다. PMI가 50을 넘으면 경기 확장 국면에, 밑돌면 경기 위축 국면에 있음을 뜻한다.

11월의 반짝 호황은 중국이 ‘바오류(保六·6% 이상 경제성장률)’를 지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인 결과로 해석된다.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3·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6.0%로 떨어졌다. 이는 올해 중국 정부가 정한 성장 목표 ‘6~6.5%’의 하한선이다. 주요 기관들은 내년에는 바오류가 무너지고 5.7~5.8% 성장에 그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올해 8월 대출우대금리(LPR)에 사실상의 기준금리 역할을 부여한 후 LPR을 계속 낮춰 고시하는 방식으로 시중 금리 인하를 유도하고 있다. 현재 대출 기준금리는 4.35%지만 10월 LPR은 4.15%다. 사실상 기준금리가 0.20%포인트나 낮아진 셈이다. 또 중국 중앙정부는 최근 지방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를 위해 내년도 특수목적채권 발행을 올해로 앞당기도록 했다. 이는 총 1조위안(약 170조원)에 달하는 대규모다.

관련기사



다만 산업생산·소매판매·고정자산투자·공업이익 등 중국의 최근 경제지표가 전반적으로 악화하는 추세여서 이번 제조업 PMI 개선에 큰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앞서 10월 공업이익은 지난해 동월 대비 무려 9.9%나 하락하면서 충격을 줬다.

미중 무역전쟁이 일부의 합의도 없이 1년반이나 계속되는 것도 중국 경기에 대한 불안감을 확대하고 있다. 앞서 미국은 오는 15일 스마트폰 등 1,560억달러(약 180조원)어치의 중국산 상품에 1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해왔다. 로이터통신은 “미국과 중국이 무역전쟁 중단에 합의하지 않으면 더 많은 미국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완화적인 통화정책에 대한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 ‘돈 풀기’는 경기 확장 유인이 되지만 반대로 이미 GDP의 300% 이상으로 추산되는 부채 리스크가 더 커지는 부작용도 동반하기 때문이다. 중국신문 등에 따르면 장쉐춘 인민은행 연구국 부국장은 지난달 29일 베이징에서 열린 포럼에서 “우리는 양적완화에 과도하게 의존했던 선진국들을 보고 교훈을 얻어야 한다”며 “경기 둔화 압력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통화정책만 혼자 앞서 가게 둬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는 지난달 인민은행 스스로가 LPR을 내려 시중 금리를 낮춘 것과도 결이 다른 판단인 셈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장 부국장의 발언에 대해 “내년 정부의 경제정책 우선순위를 정하는 중앙경제공작회의를 앞두고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산업정책 등 우선권을 두고 다양한 의견이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지난주 인민은행이 내놓은 ‘2019 금융안정보고서’에서는 전국 4,400개 은행 중 무려 586곳이 ‘고위험’ 상태라고 진단했다. 마이클 페티스 베이징대 금융담당 교수는 “부채 문제 해결에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시장은 뒤틀리고 해결 과정은 고통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