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소비자물가 넉달만에 반등했지만…김장물가 '급등'

11월 소비자물가 0.2% 상승

근원물가 20년 만에 최저 기록

0315A08 소비자물가 추이



소비자물가가 4개월만에 상승 전환했지만 11개월 연속 1%를 밑돌고 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2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해 디플레이션 우려는 여전히 상존하고 있는 모습이다. 올 하반기 0%대 중후반이 될 것이라는 정부 예측도 빗나갔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87(2015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0.2% 상승했다. 소비자물가는 지난 8월 공식적으로는 0.0% 보합이나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따지면 -0.038%로 사실상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9월 -0.4%, 10월 0.0%였다. 지난 7월 이후 4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선 것. 그럼에도 지난 1월 0.8% 이후 11개월 연속 1% 아래에 있으면서 1965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장 기간 저물가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올해 연간으로 0.4% 상승률로 내다봤다. 특히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가늠할 수 있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0.6% 상승하는 데 그쳤다. 지난 1999년 11월 이후 가장 낮다. 올해 1~11월 근원물가 상승률은 0.9%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0.5% 상승하는 데 그쳤다.


정부는 무상교복, 무상복지 등의 정책 요인과 집세 및 가전제품 등 내구재 가격의 상승률 둔화를 주 요인으로 꼽았다. 농산물·석유류 가격 하락세가 둔화한 점도 작용했다. 다만 김장철을 맞아 열무(93.7%), 배추(56.6%), 무(67.4%) 등 김장물가에 직결되는 채소류 가격은 급등해 지표상의 물가와 괴리도 나타냈다.

관련기사



경제전문가들은 0% 물가 장기화에 대해 경기 침체 속 수요부진 영향이 크다는 진단을 내놓고 있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0.2% 상승이라고 해도 여전히 장기적인 저물가 현상이 지속되고 있어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근원물가가 최저 수준이어서 개선세로 보기 힘들다”며 “경기 부부진에 의한 결과로 나타나는 지표여서 경제를 살리기 위한 정책수정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이너스 물가가 일시적이라며 연말께 0% 중후반이 될 것으로 예측했던 정부는 이 같은 시각을 고수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저물가 흐름은 수요측 물가 압력이 낮아지는 가운데 공급측 요인과 정책 요인에 의해 나타난 현상으로, 기저효과 등 특이요인이 완화되면서 연말에는 0% 중반대로 회복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세종=황정원기자 garden@sedaily.com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