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시그널] 컨테이너선사업 떼낸 흥아해운, 사업기반 약화로 신용등급↓




흥아해운 신용등급이 한 단계 하향 조정됐다. 컨테이너선사업 매각으로 사업기반 약화가 전망되고 자구계획 이행 지연으로 유동성 위험이 확대된 점을 반영했다.

3일 한국기업평가는 흥아해운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을 ‘B+(안정적)’에서 ‘B(부정적)’으로 내렸다. 앞서 지난 8월 컨테이너선사업 물적분할 이후 합병법인의 지분구조와 재무구조, 통합관련 자금 유출입, 정부의 정책적 지원, 자구계획 성공과 적기 이행 등을 점검한 결과다.


흥아해운은 컨테이너선사업을 영위하는 종속회사 흥아해운컨테이너의 지분 90%를 오는 10일부로 처분할 예정이다. 거래상대방은 장금상선으로 처분금액은 360억원이다. 컨테이너선사업 관련 해외자회사 흥아물류(상해)유한공사 지분 100%, 흥아쉬핑(태국) 지분 49%도 향후 처분한다. 처분대금 유입으로 400억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상환하는 등 일부 유동성 대응이 가능하지만 주력사업인 컨테이너선사업이 사실상 매각되면서 사업기반 약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관련기사



케미컬탱커사업 부진으로 재무안정성 개선 여력도 미흡할 것으로 분석했다. 올해 케미컬탱커사업 3·4분기 연결기준 누계 영업적자는 38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4억원 증가했다. 부채비율은 3,039%며 자본 잠식 상태로 재무구조 또한 크게 훼손된 상태다.

자구계획 이행이 지연되면서 유동성 위험도 커졌다고 내다봤다. 흥아해운은 내년 말까지 만기도래하는 차입금이 전체 4,249억원 가운데 2,240억원에 달한다. 영업부진으로 크게 저하된 현금창출력과 가용현금성자산 규모(11월초 기준 267억원)을 감안할 때 단기상환 부담이 과중하다는 분석이다. 부동산, 관계사 지분 매각 등 자체 자구계획도 더디게 진행되면서 유동성 위험도 확대됐다.


김민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