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사람 얼굴모양 토기에 무슨 소원 담았을꼬?

'3개면에 얼굴' 5세기 신라토기 출토

경북 경산 소월리 유적에서 발굴된 사람 얼굴모양 토기. 3면에 걸쳐 얼굴이 새겨져 있어 독특하다. /사진제공=문화재청경북 경산 소월리 유적에서 발굴된 사람 얼굴모양 토기. 3면에 걸쳐 얼굴이 새겨져 있어 독특하다. /사진제공=문화재청



경북 경산 소월리 유적에서 5세기 무렵에 제작된 사람 얼굴 모양의 토기가 출토됐다. 국내에서 사람 얼굴 모양이 장식된 토기가 발굴된 적은 있지만, 이번에 나온 것은 3개 면에 돌아가며 얼굴 모양이 표현된 첫 사례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이 지역을 발굴조사 중인 화랑문화재연구원은 3일 “경산지식산업지구 진입도로구간의 경산 소월리 유적에서 5세기 경에 만들어진 사람 얼굴 모양의 토기가 발견됐다”면서 “지금까지 진주 중천리유적, 함평 금산리 방대형고분 등에서도 사람 얼굴 모양이 장식된 토기가 출토된 사례는 있지만 삼면에 돌아가며 얼굴이 표현된 것은 처음”이라고 밝혔다. 각각의 얼굴은 무표정한 듯, 심각한 듯, 말을 하는 듯한 표정으로 조금씩 다르게 표현됐다

관련기사



금호강 지류인 청통천 주변의 나지막한 언덕에 자리한 소월리 유적에서는 지금까지 발굴조사를 통해 삼국~통일신라 시대에 기둥 위에 바닥을 올린 고상건물지와 구덩이, 토기가마, 고려~조선시대 무덤 등이 확인됐다. 유적의 중심을 이루는 고상건물지는 용도가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거주보다는 특수 목적의 건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경북 경산리 소월리 유적에서 사람 얼굴모양 토기가 발굴될 당시 모습. /사진제공=문화재청경북 경산리 소월리 유적에서 사람 얼굴모양 토기가 발굴될 당시 모습. /사진제공=문화재청


사람 얼굴 모양 토기는 지름 1.6m가량의 원형 구덩이에서 바닥이 깨진 시루와 함께 출토됐다. 토기의 높이는 28㎝이며, 윗부분 중앙에 원통형으로 낮게 구멍이 뚫려 있다. 토기 옆면에는 같은 간격으로 원형 구멍을 뚫어 3개의 면을 마련한 다음 각각 얼굴을 표현했다. 토기의 제작 기법과 특징 등으로 미루어 5세기 전반 또는 그 이전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연구원은 추정했다. 용도는 의례행위와 관련됐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어, 주변의 고상건물지도 의례와 관련된 시설의 일부였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