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에듀컨설팅]독서 어려워하는 초등 저학년 어휘력 향상어떻게

핵심한자 공부하고 놀이형 학습으로 흥미 유발 바람직

이자원 NE능률 국어교재 개발 연구원이자원 NE능률 국어교재 개발 연구원



Q. 초등학교 2학년 아이가 책을 읽으면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고 합니다. 글은 읽지만, 단어 뜻을 몰라서 책 읽기가 재미없다고 하네요. 따로 어휘 학습을 해야 할까요?

A. NE능률이 한글날을 맞아 전국 중학생 남녀 5,990명을 대상으로 초등 어휘력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평균 65점에 그치며 중학생들의 우리 말 어휘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게다가 만점자는 260명으로 전체의 단 4.3%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이처럼 최근 청소년들 사이에서 들어본 단어라도 정확한 뜻을 알지 못하는 ‘어휘력 빈곤 현상’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어휘력이 낮으면 문제를 읽어도 그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워 학습 흥미를 잃게 되고, 기초학력 부진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보통 공부를 잘하고 책을 잘 읽는 아이들에게는 하나의 공통점이 나타납니다. 바로 알고 있는 단어가 많다는 점입니다. 특히 교과 개념 및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 초등 시기부터 학습의 기본이 되는 어휘력을 키워야 합니다.

관련기사



어휘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충분한 독서와 꾸준한 학습이 중요합니다. 가정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데 한계가 있다면 어휘 학습서의 도움을 받아 하루에 해야 할 분량을 정해두고 공부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또한 하루 학습 마무리 단계에서 그날 학습 어휘의 핵심 한자를 점검하고 그 한자가 들어간 다른 낱말을 찾아 새로 알게 된 낱말들로 어휘망을 만들어보는 것도 좋습니다. 예를 들어 핵심한자가 ‘꽃 화(花)’라면, 개화·금상첨화·생화 등을 찾아보며 다양한 낱말을 익혀보는 것입니다. 이밖에 ‘가벼울 경(經)’과 ‘무거울 중(重)’과 같이 상대되는 한자나 동물·종교 등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관련 있는 낱말을 모아서 학습하는 것도 자연스럽게 어휘량을 늘리는 방법입니다. 왜냐하면 국어 어휘의 약 75%는 한자로 이뤄져 있어 한자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어휘력도 함께 기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어휘와 뜻을 일대일로 외우는 방식으로 공부하면 지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어휘와 뜻을 외우기만 했을 경우, 새로운 어휘를 접했을 때 의미를 헤아리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여러 상황에 따라 어휘의 뜻을 유추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또한 미로 찾기나 십자말풀이, 괄호 넣기 등 다양한 놀이형으로 아이의 흥미를 유발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꾸준한 학습을 통해 아이가 단어를 많이 알게 되면 글이나 문제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 아이의 생각을 보다 정교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알리다’라는 낱말만 아는 것보다 ‘안내하다’ ‘보도하다’ ‘선포하다’ ‘폭로하다’ 등 다양한 어휘를 안다면 상황에 따라 단어의 알맞은 의미를 파악하고, 적절한 단어를 선택해 자기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아이가 어려운 낱말 때문에 책 읽기를 포기하고, 공부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도록 가정에서 잘 지도해주세요./이자원 NE능률 국어교재 개발 연구원

이자원 NE능률 국어교재 개발 연구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