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AI(인공지능)로 지하철 화재 안전 대피 돕는다

기계연, AI 기반 대피로 안내 시스템 개발

대전시, 대전도시철도와 함께 대전시청역 시범 적용 눈길

AI(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복잡한 지하철역에서 위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시스템이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은 AI 기반의 화재 대피로 안내 시스템을 개발하고 9일 기계연 박천홍 원장과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 김경철 사장, 윤용대 대전광역시의원, 대전광역시 과학산업국 문창용 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전도시철도 대전시청역에서 연구성과 시연회를 개최한다.


시연회에서는 기계연 인공지능기계연구실 한형석 책임연구원이 개발한 AI 딥 러닝 모델을 이용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 기술은 지하철 역사내 화재가 발생했을 때 AI 딥 러닝 모델을 이용해 안전한 방향으로 승객을 안내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이용하면 지하철 역사 내부에 설치된 30여개의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온도와 일산화탄소, 연기농도 등에 따라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고 최적의 대피로를 선정한다. 이 정보는 모니터와 천정에 설치된 130여 개의 레이저 표시기로 전달돼 지하철 바닥면에 밝은 조명으로 대피로 방향을 표시한다.


연구성과 시연회에서는 지하철 2층, 지하 1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및 지하 1층 통로에 불이 났을 때를 가정한 시연이 이뤄진다. 불이 난 위치와 시간에 따라서 녹색 유도등이 위험한 곳을 피해 다른 방향의 출구로 대피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관련기사



특히 이번 연구성과는 대전시가 지역 사회의 문제를 출연연구기관과 손잡고 해결하기 위해 연구비를 지원한 ‘대전시-연구기관협력사업’을 통해 수행돼 관심을 모은다. 또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로 꼽히는 AI를 시민의 안전한 생활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활용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를 더한다.

연구팀은 향후 대전지역 소재 기업에 기술을 이전하고 국내·외 기술사업화에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기계연한형석 책임연구원은 “지하철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핵심은 승객이 골든타임내 안전하게 대피하는 것”이라며 “AI를 활용해 위기상황에 빠르게 대처하는 이 기술이 실 생활에 적용돼 시민들의 안전한 삶을 구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