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2050년엔 '여객 1,000만명'

경북도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대구국제공항 전경./제공=대구시대구국제공항 전경./제공=대구시



내년 1월 말 주민투표를 통해 이전 입지가 결정되는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의 항공수요가 오는 2050년 95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17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는 최근 도청에서 지난 8월부터 수행한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필요성 및 발전방향 연구용역’에 대한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용역결과를 보면 항공수요의 경우 통합신공항 개항시점인 2026년 490만명을 시작으로 2050년에는 950만명에 이르러 ‘항공여객 1,000만명 시대’를 열 것으로 전망됐다.


항공수요를 감안한 시설 규모는 활주로 3,200m, 여객터미널 6만9,000㎡, 계류장 22만㎡은 물론 장래 확장성도 함께 검토돼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새롭게 이전하는 통합신공항은 항공산업, 물류, 유통, 비즈니스, 관광 등을 아우르는 지역의 산업·관광 중심공항으로 성장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관련기사



1815A29 통합신공항과 대구공항 시설 비교


현재 대구국제공항은 2,755m·2,743m 규모의 활주로 2본을 비롯해 계류장 5만1,182㎡, 여객터미널 2만7,088㎡, 화물터미널 844㎡ 등으로 이미 수용능력이 한계에 도달했다.

신공항 건설에 따른 배후신도시는 국제항공업무지구, 항공물류지구(항공물류복합단지, 항공MRO단지), 항공복합산업지구(항공복합산업단지·국제업무단지·에어시티)로 세분화 및 단계적 조성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시됐다.

배용수 경북도 건설도시국장은 “통합신공항은 대구경북을 하나의 광역경제권으로 묶어 전 세계와 직접 연결하는 네트워킹 허브 역할을 하고 투자유치, 관광활성화, 인구유입 등을 통해 지역에 엄청난 경기 부양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동=손성락기자 ssr@sedaily.com

손성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