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로터리] ESS화재,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야

김삼화 바른미래당 의원




그동안 대한민국의 대표 주력산업이라고 한다면 단연 반도체와 조선·자동차를 꼽았다. 그런데 최근 전문가들은 배터리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에너지 저장과 관련한 산업을 장래 국가의 대표 산업으로 꼽고 있다. 특히 전기차와 ESS의 핵심인 배터리는 삼성과 LG·SK 등 국내 굴지의 대기업이 뛰어들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전망이 매우 밝다.

하지만 최근 배터리와 ESS 업계는 위기에 놓여 있다. 특허와 인력유출을 놓고 국제소송을 벌이고 있는가 하면, ESS는 2017년 8월부터 현재까지 총 28건의 화재가 발생하면서 판매가 거의 중단된 상태다. 6월 민관합동 ESS화재사고원인조사위원회 결과 발표 이후에도 5건이나 사고가 계속되면서 배터리 강국의 위상은 곤두박질치고 시장의 신뢰는 완전히 무너졌다.


문제는 ESS 화재 원인이 여전히 오리무중이라는 것이다. 배터리 업체는 배터리 자체의 문제라기보다 ESS를 설치하는 중소기업이나 이를 운영하는 사업주의 관리부실로 보고 있다. 그래서 삼성과 LG에서 대책으로 내놓은 것이 이상이 발견될 경우 시스템 가동을 중지하는 안전장치를 설치하고, 화재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 정도다. 하지만 이런 대응은 근본적인 대책이 아니라 화재 확산을 막거나 한시적인 조치에 불과하다.

관련기사



정부는 11월 초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원인조사단과 안전관리위원회를 꾸려 현재 6월 안전대책 발표 이후 발생한 5건의 화재사고에 대한 원인 조사와 함께 향후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아직 공식 발표가 난 것은 아니지만 배터리 자체의 결함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다만 정부가 ESS 보급을 무리하게 늘리기 위해 외국과 달리 ESS 특례요금과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를 부여하면서 배터리가 가혹한 운영 조건에 견디기 힘들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여기에 ESS 화재가 발생한 현장은 대부분 산속에 위치해 있는데다 컨테이너 박스 안에 설치돼 있다는 공통점이 있어 설치 조건을 강화하거나 철저한 온도와 습도 관리가 중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배터리 제조사에서도 배터리의 내구성과 내화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내놓는 것이 중요하다. ESS는 에너지 전환정책의 핵심이고 관련 시장은 매년 전 세계적으로 40% 이상 성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배터리 제조사들은 ESS 화재가 우리 책임이 아니라며 소극적으로 대처할 것이 아니라 좀 더 적극적인 자세로 확실한 원인 분석과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ESS 시장은 아직 초기에 불과하다. 다른 나라보다 화재가 많이 발생한 것은 뼈아픈 사실이지만, 더 많은 노력과 투자를 통해 현재의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해 고객의 신뢰를 높여나가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