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재정난 처방 내놓은 아르헨 새 정부, 농산물 수출세 인상·부자증세 추진

올 성장률 전망 '마이너스 3.1%'

마르틴 구스만 아르헨티나 경제장관      /로이터연합뉴스마르틴 구스만 아르헨티나 경제장관 /로이터연합뉴스



아르헨티나 신(新)정부가 농산물수출세 인상과 부자증세 등 경제대책을 내놓았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아르헨티나 정부는 17일(현지시간) ‘사회적 연대와 생산활성화법’으로 명명한 경제 법안을 의회에 제출했다. 마르틴 구스만 경제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이번 법안은 아르헨티나의 경제위기를 해소하기 위한 첫 단계”라며 “재정적자 확대를 방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법안에는 아르헨티나의 핵심 수출품인 농산물수출세를 인상하는 내용이 담겼다. 밀과 옥수수 수출세는 현행 12%에서 15%로, 대두 수출세는 30%에서 33%로 오르게 된다. 고가자산에 대한 세금을 인상하는 부자증세안도 법안에 포함됐다.

관련기사



아울러 외화유출을 막기 위해 해외에서 자국으로 옮긴 자금에 세제 혜택을 부여하고 페소 기반의 금융상품에 대해서는 소득세를 없애는 방안도 담겼다. 반면 달러 등 외환을 구입할 때는 30%의 세금이 부과된다.

지난 10일 출범한 페르난데스 중도좌파 정권이 증세에 나선 것은 경제위기 극복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올해 아르헨티나 경제성장률은 -3.1%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물가상승률은 55%에 달하고 빈곤율은 40%에 육박하며 실업률도 10%를 넘어섰다. 재정난이 심화하면서 마우리시오 마크리 전 정부는 지난해 국제통화기금(IMF)에서 총 570억달러(약 66조원) 상당의 구제금융 지원을 받기로 했으며 440억달러를 빌린 상태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