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인공지능 은행원 통한 예약·상담 서비스 나온다

금융혁신서비스 9건 추가 지정...총 77건

KCB, 동형암호 기법 활용해 개인신용정보 분석 모의시험 실시

AI 은행원을 통한 은행 지점 방문 예약 서비스 개념도. /자료제공=금융위AI 은행원을 통한 은행 지점 방문 예약 서비스 개념도. /자료제공=금융위



인공지능(AI) 은행원을 통한 은행 지점 방문 예약, 금융상품 상담 서비스가 출시된다. 서로 다른 기관이 보유한 개인신용정보를 암호화해 분석하는 모의시험도 시작된다.

19일 금융위원회·감독원은 총 9건의 혁신금융서비스를 지정했다고 밝혔다. 혁신금융서비스는 지정되면 최대 4년까지 관련 금융규제를 면제 받는다. 4월 이후 총 77건이 지정됐고 정부는 내년 3월까지 총 100건을 지정할 계획이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AI은행원을 통한 예약, 상담서비스다. NH농협은행의 아이디어로 고객이 영업점 방문이 필요할 경우 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활용해 AI은행원이 창구의 혼잡도 사전확인·방문 예약·서류 안내·맞춤형 금융상품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은행 지점 방문 예약 후 지점 도착 시 AI은행원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앱)에서 보험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식이다. 당국은 “영업점 방문이 필요한 고객이 사전 예약을 통해 서비스 이용시간을 효율화할 수 있고 고객의 소비, 투자 패턴을 분석한 맞춤형 금융상품 추천으로 소비자 편의가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서비스는 내년 11월 출시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가 신청한 동형암호 기반 데이터분석 서비스도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됐다. 다른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개인신용정보를 동형암호 기법으로 암호화해 이를 분석하는 서비스로 6개월 동안 동형암호 기술에 대해 모의시험을 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신용조회회사가 데이터 분석을 부수업무로 할 수 있고 개인신용정보의 수집·활용 동의가 없이도 분석 등이 가능하도록 특례를 부여했다. 이를 통해 동형암호 기술의 금융분야 활용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기회가 될 것으로 당국은 기대하고 있다.

이 밖에도 SK증권이 신청한 장외 채권중개 플래폼 서비스도 지정됐다. 증권사의 판매채권을 공유하는 장외 채권중개 플래폼을 구축해 소액투자자가 다양한 종류의 채권을 쉽게 거래할 수 있는 비대면 서비스다. 또 트루테크놀로지스의 증권대차거래 업무 자동화 서비스, 카사코리아의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한 부동산 유동화 증권 유통 플래폼 서비스, 한패스의 글로벌 송금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외송금 중개서비스, 신한금융투자의 온라인 플래폼을 통한 해외주식 상품권 구매서비스, 쿠팡과 삼성카드의 SMS인증 기반 간편 추심이체 출금동의 서비스 등이 지정됐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