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긴급신고전화 112·119 통합 3년, 출동지령 소요시간 절반가량 단축

행안부 긴급신고공동관리센터 분석결과 7분46초→4분1초

119 대원들이 상황실에서 전화 응대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소방청119 대원들이 상황실에서 전화 응대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소방청



위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신고 전화를 112와 119로 통합한 ‘긴급신고전화 통합서비스’ 시행 3년 만에 신고부터 출동 명령까지 소요 시간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 긴급신고 공동관리센터는 긴급신고를 받아 관계기관에 출동 지령을 내리기까지 걸리는 ‘공동대응 처리 시간’이 2019년 11월 말 현재 평균 241초(4분1초)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긴급신고전화 통합서비스 시행 이전인 2016년 6월 말 466초(7분46초)에서 225초(3분45초) 단축된 것이다. 신고부터 출동명령까지 소요 시간을 거의 절반 수준으로 줄였다.

신고내용이 다른 기관 소관일 경우 담당 기관에 연결해주는 이관접수 시간도 통합 전 169초(2분49초)에서 통합 후 92초(1분32초)로 77초(1분17초) 단축됐다.


해양경찰의 경우 기존 해양사고 신고번호(122)가 119로 통합되면서 오인신고나 장난전화가 통합 전 4만2,373건에서 통합 후 4,692건으로 99% 감소해 해상구조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통합된 긴급신고전화.통합된 긴급신고전화.


정부는 세월호 참사 이후 신고접수 체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라 21개에 달하던 각종 신고 전화를 2016년 7월부터 범죄는 112, 재난은 119, 민원은 110 등 3개로 통합했다.

또 긴급신고 공동관리센터를 두고 신고내용과 사고 위치, 신고자 전화번호 등 정보를 관계기관이 실시간으로 공유해 더 신속하게 공동대응하도록 했다.

지난 9월 28일 발생한 울산 염포부두 선박 폭발·화재 사고의 경우 통합 긴급신고를 통한 공동대응을 통해 4분 만에 신고 전화부터 관계기관 상황전파와 출동 지령을 완료했다. 이를 통해 소방과 해경, 경찰이 함께 신속하게 현장으로 출동해 진화와 인명구조, 주민 대피 등에 필요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었다.

안영규 행안부 안전관리정책관은 “긴급신고 통합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정착돼 각종 사고와 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며 “기관 간 지도정보 공유, 지능형 신고접수체계 구축 등으로 현장 대응력을 더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