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진중권 "유시민 '음모론적' 사유의 전형…'알릴레오'는 한국판 마블"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연합뉴스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연합뉴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가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몇 가지 왕성한 상상력으로 ‘가상현실’을 창조하는 음모론적 사유의 전형”이라며 또 다시 비난했다.

진 전 교수는 26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유시민 작가의 ‘계좌추적’ 해프닝에서 진정으로 걱정스러운 것은 그를 지배하는 어떤 사유의 모드”라며 “그는 사안에 대한 냉정하게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판단을 하는 대신에, 몇 가지 단편적 사실을 엉성하게 엮어 왕성한 상상력으로 ‘가상현실’을 창조하곤 하죠. 이것이 ‘음모론적’ 사유의 전형적 특징”이라고 비꼬았다.

그러면서 “이 허황한 음모론이 심지어 여당 수석대변인이라는 분의 입을 통해 공공의 영역인 대한민국 국회에까지 진출했다는 것은 웃지 못할 소극”이라며 “‘그 명민하신 분이 어쩌다 저렇게 되셨는지’ 주위에서 의아해 하는 분들이 많다. 간단하다. 미디어 학자 월터 옹의 유명한 말이 있다. 유튜브 방송은 ‘언론’을 참칭해도 기존의 이른바 ‘레거시 미디어’와는 전혀 다른 성격을 갖는다. 유튜브 매체의 소비자들은 ‘객관성’을 원하지 않는다. 우리 사회에 음모론을 생산해 판매하는 대기업이 둘 있다. 하나는 유시민의 ‘알릴레오’, 다른 하나는 김어준의 ‘뉴스공장’”이라고 주장했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페이스북 일부 캡쳐/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페이스북 일부 캡쳐


진 전 교수는 “우리 사회에 그들이 생산하는 상품에 대한 강력한 니즈가 있어 두 기업 매출액은 상당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런 의미에서 유시민의 ‘꿈꿀레오’와 김어준의 ‘개꿈공장’은 일종의 판타지 산업, 즉 한국판 마블 혹은 성인용 디즈니랜드라고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유 작가가 ‘사유 체계’를 점검해보라고 해서 점검해본 결과 아무 이상이 없다”며 “나이 들면 주기적으로 건강검진 받듯, 작가님 연세도 어느덧 본인도 설정하신 기준(60)을 넘었으니 한 번 점검 받아보시는 게 좋을 듯하다. 아울러 본인이 자신의 신념과 달리 아직도 ‘사회에 책임을 지는 위치’에 계신 것은 아닌지 살펴보기 바랍니다”라고 유 이사장의 나이를 언급했다.

관련기사



이는 유 이사장이 예전 강연에서 ‘나이가 들면 사람이 달라지니 60대가 되면 가능한 책임 이는 자리에 가지 않겠다’고 발언한 것을 겨낭한 것으로 해석됐다. 진 전 교수는 24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도 유 이사장에 대해 “이분, 60 넘으셨죠?”라며 나이를 꼬집었다.

한편 유 이사장은 지난 24일 검찰이 재단의 은행 계좌를 들여다본 것을 확인했다며 불법 사찰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유시민의 알릴레오’ 라이브(알라뷰) 방송에서 “어느 경로로 확인했는지 지금으로선 일부러 밝히지 않겠지만 노무현재단의 주거래은행 계좌를 검찰이 들여다본 사실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조예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