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체감성장률 일본에도 추월당하다니

올해 우리나라의 명목성장률이 1998년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이후 처음으로 1%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됐다. 명목성장률은 한 국가 안에서 생산된 상품과 서비스 가치를 현재 실생활 가격 그대로 반영해 산출한다. 기준연도인 2015년 가격을 기준으로 산출하는 실질성장률보다 체감경기에 더 가까워 체감성장률로 통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명목성장률은 1.4%로 OECD 회원 36개국 가운데 34위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거의 꼴찌 수준이다. 미국(4.1%), 영국(3.4%), 독일(2.5%)은 물론이고 일본(1.6%)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체감성장률이 일본에 추월당한 것은 1962년 이후 처음이라고 하니 한국 경제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짐작하게 한다. 성장률 둔화세는 특히 현 정부 들어 가팔라지고 있다. 출범 첫해인 2017년에는 5.5%로 OECD 국가 중 16위였으나 불과 2년 새 18계단이나 미끄러졌다. 이렇게 된 것은 실질성장률 하락 속에 소비·투자·수출입과 관련한 모든 물가지표(GDP 디플레이터)마저 급락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GDP 물가는 지난해 4·4분기(-0.1%)부터 올 3·4분기(-1.6%)까지 4분기째 후진하고 있다. 사상 처음이다.

관련기사



무엇보다 갈수록 마이너스 폭이 커지고 있어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저물가)에 대한 걱정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 지금처럼 소비·투자 위축이 다시 물가를 끌어내리는 상태가 계속되면 ‘저물가→저성장→저물가’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장기간 지속할 공산이 크다. 그렇지 않아도 최근 OECD가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올해 2.7%에서 내년 2.5%, 2021년 2.4%로 계속 낮추는 등 암울한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산업활동 동향이 모처럼 ‘트리플 상승’으로 나왔다고 좋아할 때가 아니라는 얘기다. 이제라도 정부는 재정 퍼붓기에도 왜 성장률이 곤두박질치는지를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전방위 규제에 친노조 정책 등 반(反)성장 드라이브를 멈추지 않으면서 경제가 활력을 찾고 성장률이 높아지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