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美, 저성장 벗어나려면 노동생산성 끌어올려야"

[전미경제학회 진단]

생산성 저하가 부흥 막는 주원인

수요확대 정책보다 노동개혁 필요

밸러리 래미 UC샌디에이고 교수밸러리 래미 UC샌디에이고 교수



지금의 구조적 장기침체(secular stagnation)의 핵심원인은 노동생산성 둔화이며 이를 타개하려면 정부가 수요확대책을 펴기보다 개혁작업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3일(현지시간)부터 5일까지 미국 샌디에이고 메리어트마키스호텔에서 열린 전미경제학회(AEA) 연례총회의 ‘미국 경제: 성장, 침체 또는 새로운 금융위기’ 세션 발표에 나선 밸러리 래미 UC샌디에이고 교수는 “수요가 아니라 공급에 영향을 주는 정부 정책만이 성공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세션에는 재무장관과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을 지낸 래리 서머스 미 하버드대 교수, 조지 로고프 하버드대 교수,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실러 예일대 교수 등이 참가했다.


래미 교수는 “1973년 이후 닷컴붐이나 주택버블 시기 외에 미국 경제는 낮은 성장을 해왔다”며 “정부는 오직 노동생산성을 지속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을 때만 경제를 부흥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1947~1973년 3.2% △1974~1999년 1.7% △2000~2019년 1.9% 등으로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추세다. 국제경제학자인 도미니크 살바토르 포드햄대 교수도 “1999년 이후로 가파른 기술 변화에도 미국의 노동력과 생산성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며 “장기적 성장세가 2%를 넘지 못하는 수준으로 둔화한 것은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정부 지출확대를 통한 수요증대를 주장해온 서머스 교수는 “2013년 관련 주장을 처음 내놓았을 때보다 저성장이 심각하다”며 재정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샌디에이고=김영필특파원 susopa@sedaily.com

관련기사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