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충주에 위치한 배관제조업체 A사. 이 기업은 지난 2018년 삼성전자로부터 공정·품질·설비 관리 등을 위해 생산관리시스템(MES) 구축을 지원받았다. 작업장 환경 개선은 물론 생산성도 눈에 띄게 좋아졌다. 그 결과 1년 뒤인 2019년 최대 실적을 올렸고 13명도 새로 고용할 수 있었다. 이른바 ‘상생형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후 일자리도 만들고 기업가치가 한결 올라간 것이다.
8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상생형 스마트공장 도입 후 1년이 지난 기업 478개사의 고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A사처럼 상생형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 중 50%(239개사)에서 일자리 증가가 나타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기업당 평균 고용 인원은 2명을 기록했다. 대기업과 달리 공채가 드물고 근로자 이동도 잦은 중소기업 특징을 고려하면 주목할만한 성과라는 분석이다.
이번 조사의 모집단은 지난 2018년 삼성전자와 중앙회가 실시한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대상인 478개사다. 삼성과 비즈니스로 얽힌 게 없는 회사들이라 말 그대로 상생 차원의 수혜기업들이다. 이 업체를 대상으로 1년이 지난 시점에 고용인원을 조사했더니 평균 2명꼴로 고용을 했다는 것이다. 조동석 중기중앙회 실장은 “일반적으로 스마트공장이라 하면 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화만 생각하는데, 삼성의 상생형 스마트공장은 일단 현장 작업 환경 개선을 1차로 꾀하고 이를 바탕으로 솔루션 구축 등 스마트공장 구축에 나섰다”며 “일종의 투-트랙으로 진행한 결과 스마트공장 구축 이후 기업 작업 환경이 개선됐고 일자리도 이런 중기 쪽에 유입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중소기업이다 보니 작업장 정리정돈부터 근로자 동선의 레이 아웃, 물류 동선 등의 비효율이 심했다”며 “이런 것부터 손을 보고 MES 구축 등에 나서 효과가 배가된 것 같다”고 강조했다.
유형별로 보면 스마트공장의 지원 강도가 클수록 일자리 증가 기업 비중도 높았다.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한 모니터링부터 제어·최적화까지 진행하는 A형 사업(최대 1억원 지원)의 경우 지원 업체 중 72.1%에서 일자리가 생겼다. 상대적으로 지원 강도가 덜한 B형(6,000만원 지원)은 수혜 기업의 55.7%, C형(2,000만원 지원)은 45%가 새로 고용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C형 사업 수혜업체인 두부 과자 제조사 관계자는 “스마트공장 구축으로 물류 흐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돼 시간당 생산량을 18%가량 높였다”며 “3명의 추가 일자리 창출도 그 덕분”이라고 말했다. 정욱조 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데이터 분석 결과 상대적으로 스마트공장의 구축 수준이 높은 기업들에서 일자리 증가 효과가 크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보다 많은 기업들이 스마트공장 구축 수준을 높여 근로환경 개선과 일자리 창출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