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운영을 위해 건식저장시설(맥스터)을 적기에 확보해야 합니다.”
김경수(사진)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장(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은 8일 “오는 2021년 맥스터가 포화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맥스터 추가 건설이 필요하다”며 “원전 안전운영을 위해 당연히 해야 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올해 취임한 김 회장은 이날 서울역의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나라가 원자력발전 ‘세계 5위’라는 위상에도 불구하고 사용후핵연료 관리대책 마련에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고 평가하며 “수명이 다된 발전소가 늘어나는데 원전 해체를 위해서는 저장시설이 필요하다. 점차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원전 원자로에서 꺼낸 사용후핵연료는 우선 습식저장시설에서 보관된다. 수년이 지나 사용후핵연료의 열이 어느 정도 식으면 건식저장시설로 옮겨 임시 보관할 수 있는데 이런 시설의 한 종류가 맥스터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월성원전 부지에 맥스터 7기를 건설해 지난 2010년부터 이용해왔고 7기를 증설하기 위한 운영변경 허가를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신청한 상태다. 원안위는 지난해 11월 이를 안건으로 올려 한 차례 논의했고 이달 10일에도 심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월성본부 내 건식저장시설 저장률(지난해 6월 기준)은 96.04%에 달한다.
김 회장은 “임기 2년간 사용후핵연료 관리 정책의 재정립에도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기술인 파이로프로세싱의 연구개발이 올해 지속 여부 평가를 거치게 되는 것에 대해서는 “미래 상황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려면 기본적인 연구 차원은 나쁘지 않겠다”는 의견을 냈다. 이어 “올해 원자력학회·지질학회·암반공학회·지질공학회 등과 ‘사용후핵연료 안전관리에 관한 심포지엄’을 열 계획이 있다”며 “과학기술자·환경운동가 등이 참여하는 토론장인 ‘이해관계자 소통분과위원회(가칭)’를 학회에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