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소비에서 식자재 구매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5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가계 소비에서 채소, 육류 구매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소득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특징이 있으며, 우리나라는 농축산물 가격 등락이 큰 만큼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영향도 많이 받는다.
14일 한국은행 통계를 보면, 지난해 1∼3분기 가계의 명목 국내 소비지출액(656조86억원) 가운데 11.42%(74조8,956억원)가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를 사는 데 쓰였다. 1∼3분기 기준으로 이 비율은 2014년(11.39%) 이후 가장 낮다.
2014년 소비에서 식자재 구입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11.39%에서 2017년 11.55%로까지 치솟았다. 그 해에는 여름철 폭우, 폭염에 조류 인플루엔자(AI)가 더해지며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47%까지 뛴 영향이 컸다.
이후 2018년 11.53%로 소폭 하락하더니 지난해에는 더 떨어졌다. 이는 농산물 가격이 하락하고 집밥 대신 외식이나 배달을 선호하는 문화가 커진 결과로 보인다.
가계의 국내 소비지출액은 지난해 1∼3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2.67% 늘어났고, 증가율은 2015년 1∼3분기(2.10%) 이후 가장 낮았다.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의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역대 최저인 0.05%까지 낮아지면서 이 분야에 대한 가계의 지출액도 1.69%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외식이나 배달 등이 포함된 음식점 및 숙박 서비스 지출액은 68조5,71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8% 늘었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1인 가구가 늘며 외식이나 배달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들이 늘었다”며 “대형마트에 가서 식료품을 사더라도 간편 조리식품을 소량으로 사는 경향도 강해졌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