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강희석 신임 이마트 대표이사를 외부 영입하며 변화의 닻을 올린 이마트는 연말 인사 공고 잉크가 마르기도 전에 기존 점포의 30% 이상을 리뉴얼하고 비효율적인 전문점과 저효율 점포를 폐점하는 구조조정을 진행한다고 선언했다. CJ도 지주사 임직원의 30%를 계열사로 대거 재배치하며 인력과 사업 구조조정을 가속화하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가시화된 유통업계 구조조정 바람은 모바일, 인공지능(AI), 주 52시간 근로제 등 유통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피할 수 없는 산물이다. 이는 단연 유통업계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유통·산업·금융·정보기술(IT) 전반에 걸쳐 혁신과 구조조정이 자웅동체처럼 우리 사회를 흔들어놓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급변하는 사회 환경의 한 축으로 자리 잡고 있는 구조조정의 바람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과거 해운업 사례에서처럼 이를 거부하며 사회·경제 구조개혁의 골든타임을 놓치고 함께 침몰해야 할까. 장강의 뒷물결이 앞 물결을 도도히 밀어내는 시대의 도도한 강물을 거스를 수는 없는 법이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앞으로도 변화는 시대적 소임일 수밖에 없다.
국민·정부·기업의 경제주체들은 생존하기 위해 변화를 선택하며 선제적 구조조정을 통해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노력을 각자의 위치에서 해야 한다. 우리가 1~2년에 한 번 건강검진을 하며 나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선제적으로 질병에 대응하듯 경제주체들도 스스로 생존을 위한 생산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지 않으면 도태를 넘어 패망에 이를 것이 명백하다.
우선 자본주의 경제의 가장 큰 첨병인 기업은 주 52시간제 및 공유경제시대와 같은 급격한 노동환경의 변화, 내수 경기 불황과 포화, AI와 모바일 등의 새로운 기술과 같은 세 가지 변화에 맞는 새 옷으로 갈아입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기업은 해외 비즈니스와 같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력과 더불어 거대한 구조조정을 일으킬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일하는 주체들도 변해야 한다. 예컨대 도로 위 마차가 ‘말 없는 마차’인 자동차로 대체되는 데 10년이 채 걸리지 않았듯 영화 속 장면처럼 느꼈던 ‘자율주행차’ 시대도 곧 도래한다. 자율주행차 시대가 오면 교통사고 확률이 크게 줄어 보험사의 위기도 예상되는 바다. 이에 부응하는 인력들은 살아남을 것이고 맞추지 못한 인력은 고배를 마시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정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변화의 흐름에서 도태되거나 생존에 실패한 인력을 산업현장에 재배치를 통해 생산인력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데 힘쓸 필요가 있다. 대기업의 잉여인력을 되레 인력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으로 연결해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실직자의 재교육제도를 구축하거나 보완함으로써 끌어안는 노력을 생각해볼 수 있다. 아울러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서건, 포지티브 규제를 통해서건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발목을 잡는 규제를 완화하는 기업의 생존력 강화 지원책은 필수불가결한 요소다.
yvette@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