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서울 집값 당분간 조정...전세는 더 오를것"

<설 이후 부동산 시장 전문가 진단>

이사철 급매물이 어느 가격대에 소화되는지가 관건

수도권은 풍선효과·개발호재로 국지적 상승 가능성

강남·목동 보합...정부 추가대책·금리 최대변수 될듯




이번 주 한국감정원 아파트값 조사 결과 강남 3구 매매가 변동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지난해 발표된 ‘12·16 대책’에 따른 여파다. 그렇다면 설 연휴 이후 주택 시장은 어떤 모습을 보일까. 본지가 전문가 6명에게 조사한 결과 서울 주택 시장은 당분간 조정국면에 따른 약보합 장세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수도권은 풍선효과와 개발 호재 등으로 국지적 상승세가 예상된다는 설명이다. 반면 서울 등 수도권 전세시장은 상승세가 지속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최대 변수로는 정부의 추가 대책과 금리가 꼽혔다. 한 전문가는 “초미의 관심사인 서울 주택 시장의 경우 다가 오는 봄 이사철에 급매물이 어느 가격대에 소화 되는 지 여부가 관건”이라며 “급매 소진이 빠르게 되면 지난번 ‘9·13 대책’ 때처럼 서울 아파트값이 잠시 하향 주춤하다 반등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서울 아파트값, 일부 호가 조정 불가피 =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그간 매도자 우위 시장 분위기였다면 설 이후에는 매도자와 매수자 간 시장 주도권의 균형이 맞춰질 것”이라며 “그동안 시세를 이끌었던 지역을 중심으로 호가 조정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안명숙 우리은행 부동산투자지원센터 부장도 “대책 이후 강남권이 조정되면서 매도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며 “집값의 낙폭이 커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하락 폭은 크지는 않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상승세가 꺾이긴 하지만 가격이 마이너스까진 이르진 못할 것”이라며 “가격 하락까지 가려면 하강 국면이 봄 이후 비수기까지 넘어가야 하지만 하반기 입주 물량이 적어 (서울 주택의) 희소성은 계속 커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양극화가 더 커질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권 교수는 “대출 규제의 영향으로 9억원을 기준으로 그 위는 더는 오르지 않고, 9억원 이하는 강세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본부장도 “고가 아파트가 몰린 강남, 목동은 보합 수준에 머무를 것”이라며 “반면 서울의 5억 이하 중소형 주택에는 실수요자들이 몰릴 것”이라고 봤다.

관련기사



◇ 수도권은 국지적 상승 전망 = 수도권은 다양한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장 본부장은 “경기, 인천 등 수도권 내 주요 업무지구 인근 신도시나 택지지구, 구도심 등을 중심으로 살아날 가능성이 높다”며 “실수요자와 함께 서울 전세 난민들이 경기도로 이주할 것으로 보이는 상반기까지 가격상승도 기대해 볼만 하다”고 예상했다. 김 센터장은 “신안산선이 들어가는 광명이나 신분당선이 들어가는 수원 등 교통 호재 지역들은 상승이 이어질 수 있다”며 “또 풍선효과도 지속돼 전체적으로도 강보합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봤다. 지방 시장은 경상권이나 충청권 등 장기 침체 지역들이 회복될 것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미·중 관계 개선이나 조선 수주 증가 등 산업 여건이 개선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아울러 대전·대구·광주·세종 등은 상승 폭이 둔화될지언정 오름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 서울 등 수도권 전세가 상승은 ‘한 목소리’ =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전세가 상승에 대해서는 한 목소리를 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강력한 대출 규제로 구매 수요가 전세로 가게 될 것”이라며 “학군 등의 이유로 특정 지역의 경우 전세 품귀 현상이 지속 될 것이고, 서울 전세가는 계속 올라갈 것”이라고 봤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도 “올해 입주물량이 눈에 띄게 줄지는 않지만 대출 규제나 세제 강화 등 심리적 요인으로 결국 임대차에 머무르게 돼 전세 수요는 늘어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전세도 안심할 수 없다. 서울에서 넘어온 전세수요가 경기도로 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지방 전세 시장의 경우 현재의 흐름에서 변동이 없을 것으로 봤다. 안 부장은 “매물이 늘어날 것으로 보지만 추격 매수는 대출 규제가 강해 힘들 것”이라며 “무주택 실수요자들은 서두르지 말고 시장 상황을 지켜보는 게 좋을 것 같다”고 조언했다. /김흥록·진동영·박윤선·권혁준기자 rok@sedaily.com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