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펀드에 이어 약 1조원의 자금을 운용하는 알펜루트자산운용이 28일 환매중단을 공식 선언하면서 사모펀드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다. 특히 라임펀드에 대출을 일으켜줬다가 자금이 물린 증권사들이 경쟁적으로 타 사모펀드에 대한 대출 축소에 나서면서 자칫 사모펀드 전반으로 ‘펀드런(대규모 자금 이탈)’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이 금융사들의 ‘비 올 때 우산 뺏는 행태’에 대해 구두 경고를 보낸 가운데 향후 사모펀드의 유동성 불안이 잦아들지 주목된다.
28일 금융감독원은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PBS)를 제공하는 미래에셋대우·NH투자증권·KB증권·한국투자증권·삼성증권·신한금융투자의 임원들을 불러 긴급회의를 개최했다. PBS란 사모펀드 운용에 필요한 자산보관·자금대여·자문 등의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최근 몇 년 간 사모펀드가 급성장하면서 동시에 해당 사업도 급성장했다.
이날 회의에서 금감원은 각 증권사들이 사모펀드에 대한 대출(TRS)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회수 계획 등을 점검했다. 금감원은 “일부 운용사와 체결한 TRS계약의 증거금률을 급격하게 올리거나 거래를 조기 종료하려는 움직임이 발생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라임과 알펜루트 펀드에서 환매연기가 발생했고 일부 사모펀드로도 전이될 개연성이 있어 시장 혼란과 투자자 피해가 우려된다”고 전달했다. 이에 금감원은 “펀드 부실 등의 불가피한 사유가 아니라면 갑작스러운 증거금률 인상이나 계약의 조기 종료 등은 운용사와 긴밀한 사전협의를 해달라”고 당부했다고 밝혔다.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도 금융시장 점검회의에서 같은 취지의 발언을 했다.
이 같은 금융당국의 입장 전달은 TRS 증권사들의 경쟁적인 자금회수로 인해 이날 알펜루트자산운용이 환매연기를 공식 발표한 것이 배경이 됐다. 알펜루트는 ‘알펜루트 에이트리(567억원)’ ‘알펜루트 비트리(493억원)’ ‘알펜루트 공모주(48억원)’ 등 총 1,108억원 규모의 3개 펀드에 대한 환매 연기를 결정했다. 또 추가로 23개 펀드, 약 700억원에 대한 환매 연기도 고려하고 있다. 알펜루트의 환매 연기 결정은 펀드에 총수익스와프(TRS) 계약을 통해 레버리지를 일으켜준 3개 증권사가 약 450억원의 환매를 요구하면서 촉발됐다. 이들 펀드는 비상장 주식 등 비유동성 자산이 대부분인데 갑작스러운 환매 요구로 헐값에 자산을 매각할 경우 펀드 수익률이 떨어져 다른 투자자들이 손해를 볼 수 있다고 판단해 전체 펀드의 환매중단을 결정했다는 게 운용사 측의 설명이다.
증권사 PBS서비스는 그동안 총수익스와프(TRS) 계약을 통한 대출로 고수익을 올려 왔으나 지난해 10월 라임의 환매중단 이후 자금이 묶이거나 자산 상각을 하면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200~400%까지 레버리지를 일으켜주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증거금률을 대폭 올리거나 만기가 돌아오는 계약들은 연장하지 않으면서 TRS 익스포저를 줄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개인투자자들에게 펀드를 많이 판 증권사들이 회삿돈 회수에 나서고 있는 점은 논란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알펜루트자산운용 펀드의 상위 판매사는 한국투자증권으로 총 2,971억원을 판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신한금융투자(1,726억원), NH투자증권(1,436억원), 미래에셋대우(1,003억원), 메리츠종금증권(629억원)의 순이다. 이 중 한투, 신금투, 미래에셋대우가 알펜루트로부터 자금회수에 경쟁적으로 나섰던 증권사 3곳으로 알려졌다.
알펜루트펀드를 판매한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해당 펀드의 상황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TRS 증권사가 돈을 일시에 먼저 뺄 경우 일반 개인고객들의 투자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그런 결정을 한 것이 믿기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TRS 증권사 관계자는 “PBS 부서와 WM 부서는 독립부서로 서로 정보를 교류하지 않는다”며 “각자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독립적으로 결정한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TRS 증권사들이 연 4~5%에 달하는 고율의 수수료를 받고 사모펀드에 대출을 해주면서 지난해까지 고수익을 올리다가 상황이 악화되자 먼저 자금회수에 나서면서 유동성 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는 측면이 있다”며 “리스크 관리라는 측면에서 이해는 되지만 어려울 때 우산을 뺏는 전형적인 금융회사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