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中 전용 입국장 첫날…“일일이 전화걸어 연락처 확인돼야 통과”

4일 0시 40분 도착 베이징발 항공기부터 ‘中 전용 검역대’ 가동 개시

첫 승객 100여명 중 유증상자·연락처 미확인·후베이성 체류자 없어

“모든 감염자 걸러내긴 한계…입국제한 지역 확대 검토해야” 지적도

3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승객들이 마스크를 쓴채 입국장을 빠져나가고 있다. /연합뉴스3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승객들이 마스크를 쓴채 입국장을 빠져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4일 새벽 0시 40분 중국 베이징에서 출발한 대한항공 KE854편이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232번 게이트에 도착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을 막기 위해 이날 0시부터 시행된 ‘후베이성 방문 외국인 입국제한’ 조치 이후 처음 도착한 중국발 항공기였다. 항공기에 탑승한 100여명의 승객들이 내리자 게이트 근처에 설치된 ‘중국 전용 검역대’에서는 일순간 긴장감이 감돌았다. 거의 모든 승객들이 마스크를 착용한 가운데 더러 고글까지 쓴 이들도 심심치 않게 목격할 수 있었다.

중국 전용 검역대는 중국발 항공기 승객들이 다른 지역에서 온 승객들과 동선이 겹치지 않도록 인천공항 내 총 3곳이 설치됐다. 혹시 모를 감염 가능성을 고려한 조치다.

이날 제2터미널의 전용 검역대에는 국립인천공항검역소 소속 검역관뿐 아니라 보건복지부 본부에서 파견된 공무원 약 50명이 방역 마스크와 장갑을 쓰고 대기했다. 항공기에서 내린 승객들은 검역장에 다다르자 발열, 호흡기 증상 여부 등이 적힌 ‘건강상태 질문지’를 먼저 제출했다. 외국인 승객들의 경우 국내 체류주소와 휴대폰 번호, 후베이성 체류 여부 등을 적은 ‘특별검역신고서’도 추가로 제출했다.


서류제출을 마친 승객들은 검역관 앞으로 이동했다. 검역관들은 체온계로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있는지 확인했다.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격리돼 치료 등의 절차를 밟게 된다. 다만 이날 첫 중국발 항공기 승객 가운데 이상 증상이 있는 경우는 발견되지 않았다. 검역대를 무사히 통과한 승객들은 국내 연락처를 확인하는 절차를 다시 거쳤다. 앞서 신고서에 기재한 연락처로 실제 연락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때문에 이날 검역대에서는 공무원 24명이 전화기 앞에 나란히 앉아 일일이 외국인 승객의 국내 연락처로 전화를 거는 진풍경이 펼쳐지기도 했다.

관련기사



국내 연락처까지 확인받은 승객은 ‘검역 확인증’을 지급 받고 마지막 관문인 입국심사로 향했다. 심사를 통해 후베이성 체류 사실이 확인되면 입국은 거부된다.

이날 첫 중국발 비행기에 탑승한 승객 100여명은 발열 등 유증상자나 연락처 미확인자, 후베이성 체류 경험자 등의 결격사유 없이 모두 입국심사를 통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검역 당국 관계자는 “출발지에서 후베이성 여권인 경우 출국 자체가 되지 않고, 발권도 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단체 관광객도 많지 않아 환승객 비율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날 입국한 승객 가운데 20% 가량이 환승객으로 알려졌다. 딸과 함께 입국한 한 승객은 “여러 검역단계를 거치긴 했지만 그렇게 불편하다고 느끼지는 않았다”며 “질병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여러 검역단계를 거치더라도 모든 감염자를 걸러내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때문에 후베이성 외에 입국제한 지역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