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의 증권사 인수가 임박하면서 업계에 미칠 영향을 놓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카카오뱅크가 보여준 파괴력을 고려하면 ‘증권업 혁신의 메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비대면 투자자문의 한계를 벗어나기 힘들 것이라는 신중론도 나온다.
4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5일 열리는 정례회의에 카카오페이의 바로투자증권에 대한 대주주 변경승인안을 상정한다. 이 안건은 앞서 지난달 22일 열린 증권선물위원회를 통과한 점을 볼 때 승인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안건이 통과되면 카카오페이가 매매대금을 내는 즉시 1년 반 가까이 끌어온 인수작업이 완료된다. 앞서 카카오페이는 지난 2018년 10월 기업금융에 특화한 증권사 바로투자증권의 지분 60%를 약 400억원가량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나 김범수 카카오 의장이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되면서 증선위 심사가 중단됐다. 하지만 지난해 11월 김 의장이 2심에서 모두 무죄를 선고받으며 심사가 재개됐다. 금융투자 업계에서는 카카오의 증권사 인수가 미칠 파급효과에 주목하고 있다. 카카오페이 측은 금융당국의 심사과정에서 인수 후 카카오톡을 통해 주식·펀드·부동산 등 다양한 투자상품을 판매하고 자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정확도 높은 투자자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증권사들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른바 카카오증권(가칭)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일단은 증권사가 은행과 달리 원금손실 가능성이 높은 복잡한 투자상품을 판매하고 있고 자산관리 영역이 아무래도 신뢰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고액자산가들이 대면접촉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 카카오뱅크만큼의 파급력에는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정태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비대면, AI를 활용한 자문이라는 것은 결국 상품의 손실에 대한 책임이 전부 돌아간다는 것”이라며 “그간 금융투자상품에 투자하지 않던 소비자 일부를 끌어들여 시장을 일부 키우는 효과는 있을 수 있지만 기존 지점에서 자산관리를 받고 있는 고액자산가들이 비대면을 선호할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대부분 증권사가 투자은행(IB)과 자기자본투자(PI)로 사업구조가 전환된 상황인 만큼 업계 전반에 미치는 파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반면 카카오뱅크가 보여준 저력에 비춰 예상치 못한 폭발력을 발휘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카카오뱅크는 출범 3년째에 접어든 현재 고객 1,000만명을 넘어섰고 자본금 규모는 3,000억원에서 1조3,000억원으로 급증하는 등 초고속 성장을 했다. 인수 주체인 카카오페이 역시 누적 가입자 수(지난해 8월 기준)가 3,000만명에 달하며 지난해 거래액이 50조원을 넘기면서 플랫폼으로서의 지배력을 확대하고 있다. 어떤 증권사가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을지도 관심이다. 금융투자 업계에서는 모바일·인터넷을 기반으로 주식거래 수수료 무료를 표방하며 출범, 리테일 쪽이 강한 키움증권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