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화웨이 견제 위해 자국 기업들과 ‘5G 첨단기술’ 개발 추진

WSJ, 커들로 위원장 인터뷰…“미 기업이 5G 설계, 인프라 구축”

화웨이 로고 /로이터연합뉴스화웨이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백악관이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를 견제하기 위해 자국 기업들과 독자적인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4일(현지시간) 래리 커들로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보도했다.

WSJ은 백악관이 5G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첨단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미국 기술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백악관의 계획은 미국의 일부 통신·기술기업들이 ‘공동의 표준’에 합의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5G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들이 어떤 하드웨어 업체의 장비에서도 소프트웨어 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5G 기술의 강자로 부상한 화웨이의 영향력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커들로 위원장은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와 델, AT&T 등이 이 같은 계획의 일원이며, 핀란드의 노키아와 스웨덴의 에릭슨 등도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다. 커들로 위원장은 “기본적으로 미 기업들이 미국의 5G의 설계와 인프라를 모두 수행하는 것이 큰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미국 정부는 화웨이 장비가 중국 당국을 위한 스파이 행위에 이용될 수 있다며 국가안보 우려를 이유로 화웨이를 블랙리스트에 지정했다. 또 우방과 동맹국에 화웨이 퇴출을 압박해왔다.

커들로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나에게 ‘우리가 하나의 단순한 인프라 하에 5G를 넣을 수 없느냐’는 언급을 지속해왔다”면서 미국의 자체 5G 기술개발 노력에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가 있다는 점을 밝히는 한편, “우리는 처음부터 끝까지 우리의 5G 인프라 개발을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WSJ은 그러나 세계 최대 통신장비 제조 및 판매업체인 화웨이의 글로벌 리더 자리를 뺏기는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화웨이의 최고 보안책임자인 앤디 퍼디는 “미국이 자국 또는 유럽 기업들이 개발하는 5G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원한다면, 미 정부는 5G 기술의 라이선스를 얻기 위해 미 기업들에 우리와 협상을 시작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퍼디는 또 “우리의 지식재산권을 이용하지 않고서는 (미국의 5G 기술은) 기능성과 확신 측면에서 화웨이 제품에 1~2년 뒤떨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