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25년 헌신'…정몽원 대한아이스하키연맹 회장, 국제아이스하키연맹 명예의전당 헌액

국제아이스하키연맹(IIHF)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정몽원 아이스하키협회 회장(왼쪽 두번째)이 한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 선수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한라그룹국제아이스하키연맹(IIHF)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정몽원 아이스하키협회 회장(왼쪽 두번째)이 한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 선수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한라그룹



정몽원 대한아이스하키협회 회장(한라그룹 회장)이 국제아이스하키연맹(IIHF)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다. IIHF는 5일 2020년 명예의 전당 헌액자 6명(선수 5명·빌더 1명)을 발표하면서 정 회장을 빌더 자격으로 포함했다. 빌더(builder)는 지도자·행정가로서 아이스하키 발전에 공로가 큰 인물을 대상으로 한다. 정 회장은 츠츠미 요시아키, 가와부치 츠토무, 도미다 소이치(이상 일본), 보리스 알렉산드로프(카자흐스탄)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다섯 번째로 빌더로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됐다. 정 회장의 IIHF 명예의 전당 헌액 공식 행사는 2020 IIHF 월드챔피언십 대회 마지막 날인 5월 25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린다.

IIHF는 정 회장이 변함 없는 노력과 헌신으로 한국은 물론 아시아 아이스하키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히며 아이스하키인으로서 걸어온 길을 상세히 소개했다. 1994년 남자 실업 아이스하키 팀인 만도 위니아(안양 한라 전신) 창단을 계기로 아이스하키와 인연을 맺은 정 회장은 25년간 한국 아이스하키의 선진화와 국제화를 위해 노력해왔다. 2000년대를 전후해 국내 남자 실업 아이스하키 팀이 잇달아 해체 결정을 내리는 순간에도 꿋꿋하게 팀을 지켜냈고,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2003년 일본 실업 팀들에 손을 내밀어 연합리그(아시아 아이스하키 리그)를 발족시켰다.


2011년에는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가 결정됐음에도 IIHF가 아이스하키 불모지라는 이유로 개최국 자동 출전권 부여를 주저하자 직접 대한아이스하키협회의 수장을 맡아 네트워크를 총동원하며 올림픽 본선 출전권 획득을 이끌었다. 이후 올림픽 본선까지 체계적인 대표팀 발전 프로그램을 가동해 한국 아이스하키를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다.

관련기사



남자 대표팀(2019년 랭킹 17위)은 2017년 우크라이나 키예프에서 열린 아이스하키 세계선수권 디비전 1 그룹 A에서 2위를 차지하며 2018 월드챔피언십 승격의 감격을 맛봤다. 디비전 2 그룹 B에 머물던 여자 대표팀(16위)은 디비전 1 그룹 B로 올라서며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뤘다.

정 회장은 평창 올림픽 이후에도 한국 아이스하키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왕성하게 움직이고 있다. 올림픽 유산인 강릉하키센터를 아이스하키 전용 경기장으로 존속시켜 발전 허브로 삼는다는 구상 아래 지난해 2월 남녀 대표팀이 출전하는 국제 친선 경기인 레거시컵을 강릉에서 출범시켰다.


박한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