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워라밸' 확산으로 근로자 연간 9.9일 연차휴가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여가 관련 통계조사

근로자 연차휴가 평균 9.9일로 증가세

워라밸 분위기로 휴가와 문화향유 늘어

연차휴가 사용 현황 (단위:일,%) /자료제공=문화체육관광부연차휴가 사용 현황 (단위:일,%) /자료제공=문화체육관광부



우리나라 근로자의 연차휴가 사용일수와 사용률이 늘고나 국민 여가가 점차 윤택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5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조사한 근로자휴가조사,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국민여가활동조사 등 문화·여가 관련 3가지 국가승인 통계조사결과를 발표했다.


2018년 현황을 조사한 이번 조사에서 근로자들의 연차 사용일수는 9.9일로 전년 8.5일 대비 1.4일 증가했다. 중소기업은 연차휴가 사용일수가 10.5일로 전년 8.6일보다 2일 가량 늘었다. 연차휴가 사용률도 13.3%포인트 증가한 72.5%로 나타나 근로자들의 휴가 사용 여건이 전반적으로 좋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기사



월별로는 7,8월의 연차휴가 사용이 36.8%에서 31.6%로 줄어 하계휴가의 집중 수요가 분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들은 연차 휴가를 주로 휴식(33.7%)과 여행(32.1%), 집안일(18.6%) 등을 목적으로 사용했다. 그럼에도 휴가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대체인력 부족(22.1%), 연차수당 수령(22.0%), 업무량 과다(12.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사회적 인식의 확산으로 상사의 눈치(6.5%)를 보거나 조직의 규제 분위기(2.2%) 때문에 휴가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크게 감소했다.

월별 연차휴가 사용현황 (단위:%) /자료제공=문화체육관광부월별 연차휴가 사용현황 (단위:%) /자료제공=문화체육관광부


문체부는 지난 2018년부터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근로자 휴가 지원’ 정책을 실시해 2,073개 기업의 근로자 24,620명을 위한 휴가를 지원했다. 지난해에는 7,518개 기업과 근로자 8만여 명으로 지원이 확대돼 휴가 및 국내관광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참여자들은 전년 대비 국내여행 횟수와 일수가 전년대비 50% 이상 증가했고, 정부 지원금 10만원의 약 9.3배 비용을 여행경비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휴가조사’는 2017년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 조사이며 결과는 문화셈터 누리집(stat.mcst.go.kr)과 문화예술정보시스템(policydb.kcti.re.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