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신종 코로나' 백서에는 무엇이 담겨야 하나

박홍용 바이오IT부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 있는 유증상자 교민들도 전세기로 데려오겠습니다.” “중국에서 입국을 위한 관광목적의 단기비자는 발급을 중단하고 중국 전역의 여행경보를 철수 권고로 상향 발령할 예정입니다.”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응해 정부가 대책을 발표한 당일 몇 시간 만에 내용을 바꾼 사례들이다.


지난달 29일 오전 “유증상자는 따로 독립된 비행기에 태우거나 우리가 보내는 1층과 2층으로 구분되는 큰 비행기에서 층을 달리해 유증상자와 무증상자 간의 교차 감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태울 것”이라던 박능후 중앙사고수습본부장(보건복지부 장관)의 호언장담은 9시간 만에 “전세기 철수 대상은 무증상자로 한정한다”는 김강립 중앙사고수습부본부장(복지부 차관)의 말로 180도 뒤집혔다.



지난 2일 발표된 대책도 마찬가지다. 정부는 중국에서의 관광목적 단기비자는 발급을 중단하며 중국 전역의 여행경보를 여행자제에서 철수 권고로 상향 발령하겠다고 했지만 몇 시간 뒤 “단기비자 발급 및 여행경보 상향 발령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을 바꿨다. ‘하겠다’와 ‘검토 예정’은 분명히 결이 다르다. 검토는 시행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

정부의 말 바꾸기는 이뿐만이 아니다. 정부는 애초 우한에서 입국한 교민들의 임시 생활시설을 충남 천안으로 정했다가 아산과 충북 진천으로 바꾸면서 님비현상(NIMBY)과 국민 간 갈등을 부추기는 것 아니냐는 원성을 듣기도 했다.

복지부는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부처 공무원들과 의료인들을 인터뷰해 총 488쪽짜리의 ‘메르스 백서’를 내놓았다. 훗날 쓰일 신종 코로나 백서에는 어떤 교훈이 실리게 될까. 감염병 확산을 최전선에서 저지해야 할 중앙사고수습본부가 오락가락 메시지를 전달하며 오히려 정부 불신을 자초했다고 반성하지 않을지 걱정이다. 메르스 백서 321쪽에 한 복지부 관계자는 이렇게 인터뷰했다. “카카오톡을 통해서 정보의 속도 및 양이 폭발적으로 퍼질 수 있기 때문에 정부에서 미리 정확한 정보를 줘서 신뢰를 줄 수 있게 노력하는 게 맞는 거죠.”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