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 확산으로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자동차 생산업체들을 지원하기 위해 특별연장근로를 허용했습니다. 현지 공장 중단을 막기 위해 중국 지방정부들과 협의를 강화하겠다는 방침도 밝혔습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중국 내 신종코라나 확산세에 따라 공장이 언제든 다시 멈출 수 있다는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신종코로나 대응 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신종코로나로 어려움을 겪는 완성차와 부품업체에 대한 긴급 지원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중국 현지의 부품공장을 재가동하도록 중국 정부와의 협의에 나설 계획입니다. 자동차 업계를 중심으로 국내 생산 차질을 막기 위해 조속히 중국 현지 공장을 다시 가동할 수 있게 정부가 나서 달라고 요구한 데 따른 것입니다.
중국 부품 생산이 재개되면 물품을 신속하게 들여오기 위해 물류·통관 시간을 최소화하겠다고도 했습니다. 제한적인 중국 내륙 운송을 지원하기 위해 현지 공장과 공관, 코트라 간 ‘물류 애로 지원체계’를 가동하고, 특히 중국에서 생산한 부품이 한국에 들어올 때는 24시간 통관을 지원하면서 수입심사 시 서류 제출·검사 선별을 최소화할 방침입니다.
급한 불을 끄겠다며 정부가 대책을 내놨지만 업계의 시름을 덜긴 역부족입니다. 업계는 신종 코로나 확산세가 진정되지 않으면 중국 정부와 협의를 한다고 해도 현지 공장을 돌리긴 쉽지 않을 것으로 봅니다. 자동차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지 진출 업체들도 공장을 돌리려 꽌시(관계나 인맥을 뜻하는 중국어)를 총동원해 발버둥치고 있지만 상황이 안좋다”며 “설사 지방 정부랑 협의가 잘 된다하더라도 중앙에서 가동 중단 지침이 내려오면 달리 손 쓸 방법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정부가 중국 공장 재개만 바라보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정부는 국내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특별연장근로를 통해 공장 가동 시간을 늘릴 수 있게끔 했습니다. 현 시점에서 그나마 가능한 수단은 국내 가동을 늘리는 것 정도인 듯 보이나, 인력을 추가하더라도 중국 물량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정부는 베트남·캄보디아·필리핀 등 중국 외 제3국 부품공장에서 대체 생산된 부품에 대해도 신속한 통관을 지원하는 등 대체 수급선 확보에 나서겠다고도 밝혔습니다. 다만 제 3국에서의 수급 역시 생산 규모나 품질 등을 고려하면 실효성이 크진 않아 보입니다. 국책 연구기관의 한 전문가는 “하청업체는 원청업체에 입맞에 맞는 부품을 납품하기 위해 수년간 설비 투자를 한다”며 “제 3의 업체와 거래는 할 수 있겠다만 단기간에 기존 업체를 대체할 수준의 품질을 담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세종=김우보기자 ub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