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동선 추적반' 꾸린 서울시, 확진자가 탄 버스까지 공개

CCTV분석 지도형태로 제공

방역소독 완료 여부도 발표

초기 내용과 달라지면 수정

서울시청 /사진제공=서울시서울시청 /사진제공=서울시



서울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어떤 버스를 사용했고 어느 위치의 계산대를 사용했는지 등 세세한 동선을 조사해 공개한다. 조사 과정에서 초기 발표와 내용이 달라지면 이를 수정 발표하는 ‘크로스체크’도 한다.

9일 복수의 서울시 고위관계자에 따르면 시는 보건 정책을 담당하는 시민건강국 산하에 지난주 ‘동선 추적조사반’이라는 임시 조직을 꾸렸다. 반장을 포함해 총 5명이 배치됐다. 이들은 확진자가 방문한 장소의 폐쇄회로(CC)TV를 분석해 확진자가 이용한 버스 등 대중교통 수단, 방문한 매장, 사용한 계산대 등 세세한 동선을 조사한다. 서울시는 동선 정보를 지도 형태로 제공할 예정이다.


질병관리본부가 동선을 건물 중심으로 공개한다면 서울시는 ’건물 사이’와 ‘건물 내’의 활동까지 알리겠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질본은 19번 확진자의 동선을 르메르디앙 서울,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송도점 등으로 공개했다면 서울시는 확진자가 어떻게 건물로 이동했는지, 건물 안에서 무엇을 했는지 찾아낼 계획이다. 아웃렛·호텔·상가 등의 경우 세세한 동선이 밝혀지지 않으면 정작 확진자가 방문한 곳과 멀리 떨어져 있는데도 시민들이 찾지 않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또 방역소독 완료 여부도 공개해 소상공인의 타격을 막는다. 질본은 서울시의 건의를 받아들여 23번 확진자의 롯데백화점 본점에서의 활동을 이날 공개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다른 확진자의 동선이나 질본이 확인하지 못하는 세세한 부분에서 무엇을 공개할 수 있는지 고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서울시는 초기 동선 발표 후 크로스체크도 병행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동선을 조사할 때 확진자의 증언에 기초해 조사하는데 나중에 기억이 바뀌는 경우가 많아 이를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지난 6일 김강립 중앙사고수습본부 부본부장(보건복지부 차관)이 “지자체가 정보를 따로 독자적으로 공개함으로써 혼선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협조가 매우 긴요하다”고 말하는 등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동선 공개 엇박자’가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중앙정부가 하지 못하고 지자체가 할 수 있는 부분을 하겠다는 것”이라며 “질본과도 서울시의 방침에 대해 협의를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