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신종코로나 ‘우한발 입국자 전수조사’ 대상자 전원 “잠복기 끝나”··“25명은 계속 추적”

1월 13일~1월 26일 우한발 입국자, 잠복기 14일 지나

노홍인 중앙사고수습본부 총괄책임관(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이 7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중앙사고수습본부 진단검사비 지원확대 등 일일상황점검회의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노홍인 중앙사고수습본부 총괄책임관(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이 7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중앙사고수습본부 진단검사비 지원확대 등 일일상황점검회의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들어온 전수조사 대상자 전원이 14일간의 잠복기가 지나 관리에서 해제됐다.

10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13일부터 26일까지 중국 우한에서 국내로 들어온 전수조사 대상자 2,991명(내국인 1,160명·외국인 1,831명)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잠복기가 이날 ‘0시’ 기준으로 모두 종료됐다.


전수조사 대상자 중 가장 마지막 입국자가 들어온 26일을 기준으로 잠복기인 14일이 지난 데 따른 것이다.

다만 지난달 26일 우한발 입국자는 환승객이어서 이미 출국했다. 지난달 26일 입국해 이미 출국한 전수조사 대상자를 제외한 나머지는 전날 0시에 감시가 해제됐다.


방역당국은 잠복기 종료와 상관없이 그간 연락이 닿지 않았던 일부 외국인에 대한 추적은 지속하기로 했다.



중대본 관계자는 “잠복기가 종료됐더라도 그동안 연락이 닿지 않았던 외국인에 대해서는 시·도 지자체와 경찰 등의 협조를 얻어 추적조사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7일 기준 우한발 입국자 전수조사 대상자 중 25명이 연락되지 않고 있다.

그동안 중대본은 매일 전화로 우한에서 들어온 내·외국인의 건강 상태를 확인해왔다. 국내에서 23번째로 확진된 신종코로나 환자(57세 여성, 중국인)는 지난달 우한에서 들어온 전수조사 대상 중 한명이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