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우한실태 고발 시민기자 실종…가족엔 ‘격리됐다’ 통보”

CNN “천추스, 지난 6일 저녁부터 연락 안돼”

모친 “아들 찾아달라” 트위터서 호소

봉쇄령 직후 우한 찾아 실상 보도한 인물

중국 시민기자 천추스가 지난달 31일 유튜브에서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유튜브 캡처중국 시민기자 천추스가 지난달 31일 유튜브에서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유튜브 캡처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발원지인 중국 우한에서 감염 확산 및 당국 대응을 고발해온 시민기자 천추스(34)가 지난 6일부터 실종 상태라고 미국 CNN방송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천추스의 가족은 그가 격리됐다는 당국의 통보를 받았으나 언제 어디로 격리된 것인지는 모르는 상태다.

이날 CNN방송 보도에 따르면 우한에서 비판적 보도를 이어온 변호사 출신 시민기자 천추스가 지난 6일 저녁부터 연락이 끊겼다. 안전을 염려한 친구들과 가족이 하루에도 여러 차례 천추스에게 연락을 취해왔는데 천추스가 전화를 받지 않은 것이다.

중국 동북부 칭다오 지역 출신인 천추스는 우한에 봉쇄령이 내려진 다음날인 1월 24일 도착했으며 병원과 장례식장, 임시 격리병동 등을 돌아보고 촬영한 영상을 온라인에 게시, 우한의 암울한 실상을 부지런히 알렸다.


가족에게는 천추스가 강제 격리에 들어갔다는 경찰의 통보가 왔다. 그러나 언제 어디로 격리된 것인지 등 자세한 설명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천추스의 모친은 영상 메시지를 통해 “온라인의 모든 분, 특히 우한의 친구들에게 아들을 찾을 수 있게 도와달라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간청한다”고 호소했다. 천추스의 친구이자 유명 무술인인 쉬샤오둥은 유튜브 라이브방송을 통해 “천추스가 격리라는 이름으로 구금됐다고 당국이 부모에게 알려왔으며 천추스의 모친이 ‘언제 어디로 간 것이냐’고 물었으나 답변을 거부했다”고 알렸다.

관련기사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퍼지고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알렸다가 ‘괴담 유포자’로 몰려 당국의 처벌까지 받았던 우한중심병원의사 리원량이 환자를 치료하다 자신도 감염돼 지난 3일 인공호흡기를 쓴채 병원에 누워있다. /우한= 로이터연합뉴스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퍼지고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알렸다가 ‘괴담 유포자’로 몰려 당국의 처벌까지 받았던 우한중심병원의사 리원량이 환자를 치료하다 자신도 감염돼 지난 3일 인공호흡기를 쓴채 병원에 누워있다. /우한= 로이터연합뉴스


앞서 신종코로나 확산을 처음으로 알렸다가 괴담 유포자로 몰렸던 의사 리원량이 지난 7일 세상을 떠난 상황에서 천추스의 실종은 중국판 트위터 웨이보에서 이목을 끌기 시작했다고 CNN은 전했다.

CNN방송은 천추스를 리원량과 함께 ‘진실의 수호자’라고 치켜세우며 천추스가 우한에서 올린 영상 등을 토대로 그간의 활약을 상세히 소개했다. 천추스는 우한에 도착한 날 “나는 이전에 내가 시민기자라고 밝혔다. 만약 재앙이 있는 전선으로 달려가지 않는다면 내가 무슨 기자겠느냐”라고 말하는 영상을 올렸다. 그는 “여기 있는 동안 루머를 퍼뜨리지 않고 공포나 패닉을 조장하지 않겠다. 그러나 진실을 덮지도 않겠다”고 강조했다. 천추스는 지난 1월 30일 올린 영상에서는 “무섭다. 내 앞에는 바이러스가 있고 내 뒤에는 공안이 있다”며 두려움을 토로한 뒤 “살아있는 한 여기서 보도를 계속할 것이다. 죽는 게 두렵지 않다. 내가 왜 공산당을 두려워해야 하나”라고 했다.

천추스는 지난해 8월에는 홍콩에서 격화한 민주화 요구 시위를 보도하러 현장을 찾았으며 폭도들의 시위라는 중국 당국의 설명과는 달리 대부분 평화적으로 시위가 진행됐다는 영상을 웨이보에 올렸다. 그의 홍콩행은 당국의 호출로 급작스럽게 종료됐으며 중국에 돌아와서는 여러 부처에서 조사를 받아야 했다고 그는 이후 올린 영상에서 주장했다.

뒤이어 74만명의 팔로워를 거느린 천추스의 웨이보 계정이 삭제됐다. 그러나 천추스는 작년 10월초 유튜브 영상으로 통해 그의 ‘컴백’을 알리며 계속해서 목소리를 높이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10월 올린 영상에서는 “표현의 자유는 중국 헌법 35조에 명시된 기본적 시민의 권리”라며 “압박과 방해를 만나더라도 옳은 일이기 때문에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