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데일리 국제금융시장] 신종 코로나도 못 막는 美경제…S&P·나스닥 사상 최고

미 고용 대폭 증가 등 양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도 미국 경제는 막지 못하는 것 같다. 10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탄탄한 미국 경제에 대한 낙관론으로 상승했다.

시장정보업체 마켓워치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74.31포인트(0.6%) 오른 29,276.8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은 24.38포인트(0.73%) 상승한 3,352.09, 나스닥은 107.88포인트(1.13%) 뛴 9,628.39에 장을 마감했다. S&P 500과 나스닥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시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중국 및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과 주요 경제지표를 주목했다. 미 경제방송 CNBC에 따르면 애플 아이폰 제조 기업인 폭스콘의 정저우 공장이 당국으로부터 조업 재개 승인을 받았지만 근로자 복귀율이 약 10%에 그친다는 보도가 나왔다. 중국 제조업이 원활하게 돌아가지 않을 겨우 중국 경제가 타격을 받는 것은 물론 공급 사슬이 무너지면서 글로벌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 내부. /AFP연합뉴스뉴욕증권거래소(NYSE) 내부. /AFP연합뉴스



하지만 미국 경제가 탄탄하다는 믿음이 랠리를 만들었다. 지난주 나온 1월 비농업 신규 고용은 22만5,000명 증가로 시장 예상을 대폭 웃돌았다. 신종 코로나 신규 확진자 증가 속도가 하루 3,000명 부근에서 더 늘지 않고 있다는 점도 불안감을 줄이는 요인이다.


기업들의 양호한 실적도 증시를 떠받치는 요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4·4분기 S&P500 지수 포함 기업의 순이익은 소폭 증가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들이 예상보다 양호한 성적표를 내놓으면서 실적 시즌 시작 당시 순익 감소가 예상됐던 것에 비해 기대치가 상승했다.

관련기사



중국을 비롯해 주요국 중앙은행이 경기 부양에 나설 가능성도 주가를 높이는 요인이다. 중국 인민은행의 금리 인하 전망이 지속하는 가운데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전보다 완화적인 태도를 보일 것이란 기대도 커졌다. 이날 종목별로는 아마존 주가가 2.6% 이상 상승하며 사상 처음으로 주당 2,100달러선을 돌파했다.

국제유가는 2거래일 연속 약세를 보였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1.5%(0.75달러) 하락한 49.5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4월물 브렌트유도 전날보다 배럴당 2.20%(1.20달러) 내린 53.27달러에 거래됐다.

금값은 소폭 올랐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금은 전 거래일보다 온스당 0.4%(6.10달러) 상승한 1,579.5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뉴욕=김영필특파원 susopa@sedaily.com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