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315억 펀드 조성…농촌, 2040 일자리 보고로

■ 농식품부 업무보고

농지공급 30%↑·임대형 온실 구축

소규모 농가 40만곳에 年120만원

1215A06 농식품부 올해 업무계획 주요 내용



농림축산식품부가 올해 청년농 대상 농지공급물량을 지난해보다 30% 이상 증가한 2,240헥타르(㏊)로 늘리고 임대형 온실을 30개로 확대하는 등 청년의 농업 창업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 경지면적이 0.5㏊ 이하인 소규모 농가 30~40만호에 연(年) 120만원의 공익직불제가 올해 5월부터 지급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당·정·청 관계자들, 농업인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우선 농식품부는 2040세대의 안정적 창업과 농촌 정착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청년이 원하는 지역의 유휴 농지를 개발해 농지 공급 물량을 확대기로 했다. 이에 따라 청년농 농지공급물량은 지난해 1,696㏊에서 올해 2,240㏊로 늘어난다. 또 저렴한 비용으로 창업이 가능한 임대형 온실 30개와 스마트팜 6곳을 조성할 계획이다. 기술집약형 시설농업을 선호하지만 ‘초기자금’이 많이 들어 부담을 느끼는 청년층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관련기사



또 기술·아이디어 기반의 일자리 창출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100억원 규모 ‘영 파머스 펀드’와 215억원 규모 ‘징검다리펀드’를 신규 조성해 혁신 창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 청년 농업인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과정을 확충하고 심층 창업 컨설팅 과정도 신설한다. 귀농·귀촌에 정보가 부족한 5060 세대를 상대로 도시농협을 통해 자산관리나 세제, 금융 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도 올해부터 제공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특히 올해 5월 공익직불제 시행을 앞두고 세부 계획을 조속히 구체화하기로 했다. 중소규모 농가의 소득 안정을 위해 0.5㏊ 이하 규모 농가는 경지면적과 관계없이 연간 120만원 수준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그 외 농가는 면적이 작을수록 높은 단가를 지급할 예정이다.

농식품 시장 확대를 위해 신남방·신북방 등으로 수출시장 다변화에 나선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베트남 등지에서 인기를 끄는 딸기는 모종 공동 재배와 포장재·설비 지원으로 수출을 확대하고, 포도는 수출 농가에 대한 교육을 강화할 것”이라며 “한류 활용 마케팅을 통해 수요처를 발굴하고 스마트팜 설비와 농자재, 품종을 묶은 ‘스마트팜 패키지’ 역시 수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종=조양준기자 mryesandno@sedaily.com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