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현대차그룹 전자주총 도입...달아오른 시스템 유치경쟁

삼성전자 이어 대기업으로 확산

미래에셋·삼성證 등 무료 서비스

예탁원-증권사 간 경쟁구도 생겨




삼성전자에 이어 현대자동차그룹까지 전자투표제 도입을 결정하면서 증권업계의 전자투표 서비스 유치 경쟁에 불이 붙고 있다. 예탁결제원을 비롯해 미래에셋대우와 삼성증권·신한금융투자 등이 ‘전자투표 시스템’ 시장을 놓고 본격적인 영업에 뛰어들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12일 모든 상장 계열사가 전자투표제도를 도입하고 ‘주주 친화 경영’을 가속화한다고 밝혔다. 지난해까지 현대글로비스·현대비앤지스틸·현대차증권이 전자투표제도를 선제 도입한 데 이어 현대차·기아차·현대모비스·현대제철·현대건설·현대위아·현대로템·이노션·현대오토에버 등 나머지 9개 상장 계열사들도 전자투표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주주총회에 앞서 이달 중 열리는 각사 이사회 결의를 거쳐 제도 도입을 확정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소액주주들의 주주권을 보장하고 주주와 시장 이해관계자들과 신뢰관계를 조성해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동시에 높이겠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최근 코스피 대장주인 삼성전자에 이어 현대차까지 전자투표 시스템 도입을 결정하면서 서비스 유치 경쟁도 달아오르고 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전자투표 시스템을 제공하는 곳은 예탁결제원과 미래에셋대우 두 곳에 불과했지만 올해부터 삼성증권과 신한금융투자도 서비스 제공에 뛰어들었다. 특히 계열사인 삼성증권이 올해 관련 서비스에 뛰어들면서 당연히 삼성전자의 전자투표를 맡게 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었으나 지난해 삼성전자가 예탁결제원에 전자투표 도입을 논의하는 등 경쟁구도가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최근 서비스 업체 선정 작업을 어느 정도 마친 것으로 알려졌지만 주주총회 소집 공고 전까지 선정업체를 밝히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SK그룹이 지주사인 SK와 주요 계열사인 SK하이닉스·SK이노베이션 등에 전자투표제 도입을 결정했고 계열사 가운데 롯데하이마트가 전자투표제를 시행 중인 롯데그룹 역시 전사적으로 전자투표제 확대 도입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재작년 섀도보팅 제도가 폐지되고 전자투표제 도입을 고려하는 기업이 늘면서 미래에셋대우와 삼성증권 등 대형 증권사들은 관련 서비스를 개발하고 무료로 제공하는 등 시장 점유율 확보에 나섰다. 수수료 수익 이외에 거래처 확보를 통한 부가적인 수익이 클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이전까지는 상장사가 전자투표 서비스를 요청하면 제공하는 방식이었던 시장도 올해는 영업 위주로 바뀌었다. 전자투표시스템을 제공해 적게는 100만원에서 많게는 500만원의 수수료를 받았던 예탁결제원은 올해 1월 전까지 위탁계약을 체결하거나 3년 연속 자사 시스템을 이용한 기업, 주주총회 집중예상일(3월 13·20·26·27일)을 피해 주주총회를 개최하는 기업들에 수수료를 감면해주는 등의 혜택을 마련했다. 증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올해 삼성증권이 적극적인 계약유치에 나서면서 실질적으로 3개사(예탁결제원·미래에셋대우·삼성증권)의 경쟁 구도가 형성됐다”며 “전자투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사의 영업경쟁이 활발하다”고 전했다. /신한나·박한신기자 hanna@sedaily.com

신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