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지역 표준지 공시지가 평균 6.20% 상승

전년(10.26%) 보다 4.06% 하락

경기침체, 현실화율 제고분 반영 등

부산시 연도별 표준지 공시지가 변동률 추이./제공=부산시부산시 연도별 표준지 공시지가 변동률 추이./제공=부산시



부산지역 표준지 공시지가가 올해 1월 1일 기준으로 평균 6.2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평균 6.33%보다 낮게 평가된 수치다.

표준지 공시지가는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감정평가사를 지정해 실거래가와 토지특성, 자연·사회적 조건 등을 감안해 조사·평가한 것으로 중앙부동산가격공시 위원회 심의를 거쳐 결정·공시한 가격이다.


부산의 경우 부산 관내 16개 구·군 표준지 1만7,986필지에 대해 표준지 공시지가를 조사한 결과, 평균지가 변동률은 6.20%로 매년 꾸준한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전년도(10.26%)보다는 상승 폭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반적인 경기침체와 표준지 공시지가의 현실화율 제고 등이 원인인 것으로 부산시는 분석했다.

특히 전년도에 가격이 급등했던 △중구 4.41%(전년 17.18%) △부산진구 5.97%(전년 16.33%) △서구 6.14%(전년 11.94%)는 부동산 공시가격의 현실화율을 처음으로 반영한 전년과 대비해 하락 폭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현실화율은 시세 대비 공시지가의 비율을 말한다.


전반적으로는 그동안 토지가격이 실제 거래가격과 비교해 저평가된 역세권·상권 지역과 고가주택 중심으로 실거래가를 반영하면서 부산지역의 표준지 공시지가가 상승했다. 특히 해운대관광리조트 및 동부산관광단지 개발사업이 확대되고 우3구역·반여1-1구역·거제2구역·남천 2구역 착공 등 구·군별 대규모 도시개발사업 등에 따른 영향으로 해운대구(8.72%), 동래구(7.72%), 연제구(6.79%), 수영구(6.71%)가 전국 평균(6.32%)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이밖에 강서구(4.28%), 중구(4.41%), 영도구(4.48%), 동구(4.9%) 등 12개 구·군은 김해신공항사업추진 지연, 해운업·조선업 경기침체 등으로 상승률이 둔화하면서 전국 평균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2020년 구·군별 표준지 공시지가 변동률./사진제공=부산시2020년 구·군별 표준지 공시지가 변동률./사진제공=부산시


이번 조사 결과 부산시 내 표준지가가 제일 높은 토지는 지난해와 동일하게 부산진구 부전동 254-20번지(서면 금강제화)로 ㎡당 4,300만 원이며 가장 낮은 곳도 지난해와 동일한 개발제한구역인 금정구 오륜동 산40번지로서 ㎡당 960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지 공시지가 열람은 구·군 토지정보과나 국토교통부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를 통해 가능하다. 표준지 공시지가에 대한 이의신청은 다음 달 13일까지 국토교통부 누리집을 통해 온라인 신청과 팩스 또는 우편(서면)으로 하거나 해당 시·구·군 민원실을 직접 방문하면 할 수 있다.

제기된 이의신청은 공정성과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당초 감정평가사가 아닌 다른 감정평가사가 다시 조사·평가한 뒤 중앙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의 심의 등을 거쳐 가격의 재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재조정된 가격은 오는 4월 12일 관보를 통해 조정 공시된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