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목요일 아침에] 금융회사가 그리 만만한가

김영기 논설위원

금융회사를 '인사 놀이터'로 생각

정권이 바뀔때마다 요직 쥐락펴락

급기야 노조가 간섭 '勞治'까지 등장

각종 '治'에 휘둘리는 고리 끊어야

김영기 논설위원



그때 알아챘어야 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지 반년이 채 안 된 지난 2017년 10월 초. 임기 만료를 앞둔 한 금융협회장의 후임 하마평에 뜻밖의 인물이 등장했다. 1급, 기껏해야 차관급이 노리던 자리에 전직 장관이 유력하다는 얘기였다. 후배 관료들 사이에서는 “우린 어딜 가라고”라는 푸념이 터져 나왔다. 그는 기어이 회장이 됐다. 몇 달 지나지 않아 이번에는 또 다른 전직 장관급 인사가 금융공기업의 수장에 올랐다. 정권의 뒤바뀜은 참여정부에서 요직을 지낸 두 인물을 10년 만에 거리낌 없이 소환해냈다.

한국 금융산업의 지배구조는 신기할 정도로 변하지 않는다.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도 지배구조만큼은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권세가들은 가장 먼저 금융을 향해 탐욕의 손길을 내밀었고 금융회사는 저항도 못 한 채 먹잇감이 됐다.


그나마 과거 정권에서는 전리품을 챙기는 와중에도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금융회사를 만들겠다며 다양한 형태의 육성 계획을 만들었다. 현 정권의 뿌리인 노무현 정부는 출범 첫해 청사진을 뜻하는 파란색 표지의 금융산업 발전방안을 내놓았고 실현 가능성은 차치하더라도 동북아 금융허브의 개념을 꺼냈다. 이명박 정부의 메가뱅크론과 박근혜 전 대통령의 창조금융 역시 금융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노력이었다. 그런데 현 정부 들어 금융은 홀대론이 나올 정도로 관심의 영역에서 제외됐다. 카카오뱅크 등 인터넷은행과 핀테크가 싹텄다지만 정부는 실상 규제를 가하는 훼방꾼에 가까웠다.

관련기사



그럼에도 금융회사를 인사의 놀이터로 생각하는 것만큼은 달라지지 않았다. “청와대가 금융권을 잡고 나가려면 유재수(전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와 같은 사람이 필요하다”는 청와대 실력자의 발언은 현 정부의 시각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국민연금 이사장은 정권 출범과 동시에 여권 정치인의 몫이 되더니 총선이 다가오자 뒤도 안 보고 나갔다. 기업은행장은 어떤가. 정부가 처음 내민 카드는 고용 참사로 문책당한, 그것도 금융에 몸담은 이력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인물이었다. 힘들게 자리에 오른 현 행장 역시 모양새가 개운치는 않다. 청와대가 임명의 배경으로 밝힌 “국정 철학을 잘 이해하고 있는 인물”이라는 말 자체가 구차하다. 언제부터 기업은행장이 국정 철학까지 필요한 자리가 됐나. 앞으로 국정 철학을 모르는 내부 인사는 행장이 될 수 없다는 말인가.

더 볼썽사나운 것은 요란하게 반대를 외쳤던 노조가 투쟁의 깃발을 스스로 내린 과정이다. 여당 원내대표는 입을 맞춘 듯 ‘매우 유감’이라는 미사여구로 노조를 달랬고 노조는 덤으로 노조추천이사제까지 얻어냈다. 은행장 자리를 노동이사제와 맞바꾼 셈이다. 정치권뿐만 아니라 노조까지 금융회사의 지배구조를 쥐락펴락하는 상황, 이것이 바로 현 정부 금융산업의 실체다.

정치(政治)에 이어 노치(勞治)가 판을 치는데 관치(官治)의 본가인 금융당국이 뒷짐을 지고 있을 리 없다. 금융회사들에 당국은 예나 지금이나 생살여탈권을 움켜쥔 갑 중의 갑이다. 지난해 금융당국과 한국은행의 퇴직자 20명 가운데 14명이 금융 관련 기관으로 갔고 이중 9명이 금융감독원 출신이었다. 주요 은행의 감사는 금감원의 전임 국장들로 꽉 채워져 있다. 한때 감사원 등에 자리를 내주기도 했지만 터줏대감은 여전히 금감원 출신이다. 금융회사가 만만하니 파생결합펀드(DLF)처럼 대형 사고가 터져도 감독당국은 관리 부실 책임을 질 생각을 하지 않고 최고경영자(CEO)에게만 목을 내놓으라 외친다. 전형적인 편의주의 행정이다.

국내 금융산업은 저금리와 대출 규제에도 지난해 4대 금융그룹의 순이익이 11조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 기록을 세우는 등 휘파람을 불었다. 하지만 독버섯처럼 뿌리 내린 치(治)의 꼬리표를 떼어내지 못하는 현실에서 제아무리 화려한 성적표를 일궈낸들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김영기 논설위원 young@sedaily.com

김영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