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코로나19 선별진료-보건소, 경증-의료원, 중증-격리병상 분담을”

3개 감역관련 학회, 정부에 권고

병·의원은 외래·입원환자서 감별

일반 환자 안전한 진료 보장해야

감염관련 3개 학회가 코로나19 의심환자 선별진료는 보건소, 경증 의심환자·확진자 입원진료는 공공의료원, 중증 환자 입원진료는 국가지정격리병상(대형병원·공공의료원)에서 분담할 것을 정부에 권고했다.

대한감염학회·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대한항균요법학회는 최근 “코로나19 위기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병원내·지역사회 감염 확산을 막고) 일반진료가 필요한 국민이 병·의원, 급성기병원에서 안전하게 진료받을 수 있는 의료체계가 유지되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며 의료기관 간 역할분담을 제안했다.

실제로 코로나19 선별진료를 맡은 급성기병원인 고대안암병원 응급실이 대응을 잘 했음에도 예기치 못한 확진자 진료로 일반 응급환자와 의료진이 코로나19 감염 위험에 노출됐고 응급실 일시 폐쇄로 일반 급성기·중증 환자 진료에 제한을 받고 있다.

박능후 중앙사고수습본부장(보건복지부 장관)이 17일 저녁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 자문특보단과의 간담회에서 지역사회 전파 대응책 등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제공=보건복지부박능후 중앙사고수습본부장(보건복지부 장관)이 17일 저녁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 자문특보단과의 간담회에서 지역사회 전파 대응책 등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제공=보건복지부



학회는 보건소의 경우 “지역내 경증 의심환자와 접촉자들을 선별진료할 수 있는 기능을 확충하고 대응역량 향상을 위해 교육·관리하는 조직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입원이 필요한 경증 의심환자와 확진자 진료에 대해서는 “지자체마다 공공의료원 등을 ‘감염병전담병원’으로 지정해 병상을 운영, 위기상황에 대한 지자체의 대응 역량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학회는 “광주 한 병원에서 확진자 발생을 경험하면서 (입원치료가 필요한 노출 환자 관리, 의료진 지원과 관련한) 지자체의 준비 미흡 등 많은 문제점이 발견됐다”며 “확진자·접촉자 관리를 위한 의료시설·격리시설과 인적·물적자원 준비 등 행정적 업무는 보건복지부·지자체가 주체로서 대비해 질병관리본부는 방역 자체에 집중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학회는 일반 병·의원과 급성기병원의 역할에 대해서는 “외래·입원진료 환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감별해 의료기관내 전파를 차단, 일반 환자의 안전한 진료를 보장하는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고 했다. 확진자와 의심환자가 입원 중인 몇몇 대형병원·의료원의 국가지정격리병상에 대해서는 “확진자 진료는 물론 확진검사를 위해 입·퇴원을 반복하는 경증 의심환자 때문에 의료진이 과부하가 걸리고 있다”고 판단했다.

학회는 “2차 유행과 잠재적 지역사회 유행으로부터 우리나라를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지금보다 더 선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코로나19의 감염전파력이 사스(신종급성호흡기증후군)·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보다 높아 지역사회와 의료기관내 슈퍼 전파 가능성을 염두에 둔 포괄적 방역체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