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벌채’ 대신할 새로운 용어, ‘나무걷이’·‘나무수확’ 등 선정

산림청, 온라인 공모 결과 9개 용어 선정·발표

목재로 활용하기 위해 잘라놓은 나무. 사진제공=산림청목재로 활용하기 위해 잘라놓은 나무. 사진제공=산림청



산림청은 ‘벌채’를 대신할 용어로 ‘나무걷이’·‘나무수확’ 등 9개 용어를 선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산림청은 ‘벌채’ 대신할 새로운 용어를 지난 1월 22일부터 2월 11일까지 온라인 공모했고 모두 2,542건을 접수했다.


내부위원심사, 대국민 투표 및 외부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1위는 선정하지 않았고 2위 ‘나무걷이’·‘나무수확’, 3위 ‘숲치기’·‘수목걷이’·‘나무거둠’, 4위 ‘거두림’, ‘나무 자르기’·‘나무치기’·‘나무 갈무리’ 등을 뽑았다.

관련기사



산림청은 온라인 공모 결과에 따라 2위 2명에게는 각 50만원, 3위 3명에게는 각 20만원, 4위 4명에게는 각 5만원의 상품권을 수여한다.

한창술 산림청 산림자원과장은 “온라인 공모를 통해 높은 관심을 두고 참신한 용어를 제시해 주신 국민 여러분께 감사하다”며 “이번 공모를 통해 목재생산을 위한 벌채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계기가 됐고 발굴된 용어는 산림행정 용어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