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한은, 코로나 충격에도 기준금리 동결...채권 금리 일제히 껑충

한은 기준금리 연 1.25% 동결

코로나 충격에도 부동산 등 리스크 고려한 듯

국고채 3년물 5.9bp 상승

증권가는 4월 인하론 제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이날 한은은 기준금리를 현 연 1.25%로 동결했다. /사진=연합뉴스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이날 한은은 기준금리를 현 연 1.25%로 동결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25%로 동결한 27일 국고채 금리가 일제히 상승했다. 당초 시장에서는 코로나 19의 확진자 급증으로 기준금리가 인하될 것이란 기대가 컸지만 한은이 예상보다 매파적으로 반응하면서 채권 금리가 껑충 뛰어 오른 것이다. 다만 증권가에서는 오는 4월 금통위에서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는 분위기다.

이날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5.9bp(1bp=0.01%포인트) 오른 연 1.194%로 마감했다. 10년물 금리도 전일보다 4.8bp 상승한 연 1.443%로 장을 끝냈다. 5년물과 1년물도 각각 5.8bp 상승, 3.5bp 상승했다.


그 동안 채권 시장과 증권가에서는 2월 기준금리가 1%로 인하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코로나 19의 확진자수가 1,000명을 넘어가는 등 사태가 갈수록 악화하고 이에 따른 경기 위축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비상경제 시국’이라 진단하며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라는 지시가 이어지는 것도 2월 인하론에 무게를 실었다.

관련기사



하지만 한은은 시장의 예상과 달리 기준금리를 현 1.25%로 동결했다. 한은의 이 같은 결정에는 우선 코로나19 사태가 3월 중 정점에 이른 뒤 진정세를 보일 것이라고 판단한 데에 있다. 또 수요와 생산 위축은 불안 심리 확산에서 비롯된 것이라 봤고 특히 가계대출 증가세와 주택가격 안정을 확신하기 어렵다고 평가한 것이 금리를 동결한 배경이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준금리 동결의 배경은 코로나바이러스의 악영향은 불확실하지만 부동산 문제는 확실한 리스크로 요약할 수 있다”며 “한국은행은 경기 불확실성보다는 부동산 관련 금융 불안정성에 초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현 기준금리가 역대 최저수준으로 통화정책 여력이 제한적이라는 점도 금리 동결에 한몫한 것으로 풀이된다.

증권가에서는 오는 4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1%로 내려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분위기다. 안재균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정부의 추경 편성과 각종 소비 진작 대책 등이 예정되어 있지만 이것만으로 민간소비 위축에 대응하긴 어려울 것”이라며 “4월 금통위에서의 기준금리 인하를 예상한다”고 했다. 강 연구원은 “2명의 금리 인하 소수의견이 유지됐고 1분기 경기지표가 크게 부진할 것으로 보여 4월에는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금리 인하 시점이 4월로 이연된 것이며 연내 동결을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도 “코로나19 확산으로 국내 경제 불확실성이 계속 커지는 상황에서 2월 금통위의 통화정책 결정은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잠시 미룬 것에 불과하다”며 “4월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가 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채권 시장의 경우 단기적으로 조정장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미 주요 시장금리가 기준금리를 하회하는 수준으로 낮아진 만큼 이번 동결로 단기적으로 채권가격의 조정은 불가피하다”면서도 “여전히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유효한 만큼 추경 논의가 본격화되는 시점을 전후로 채권에 대한 포지션을 중립 이상으로 확대할 것을 제안한다”고 했다.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