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데일리 국제금융시장] 코로나19 미국 내 확산 공포에 3대 지수 4% 이상 폭락

3대 지수 모두 10% 이상 하락

27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미국 지역사회 전파 가능성에 패닉에 빠지며 또다시 폭락했다.

시장정보업체 마켓워치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90.95포인트(4.42%) 폭락한 25,766.6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은 137.63포인트(4.42%) 추락한 2,978.76, 나스닥은 414.30포인트(4.61%) 떨어진 8,566.48에 장을 마감했다. 3대 지수는 모두 전 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한 것을 의미하는 조정장에 진입했다. 다우지수는 포인트 기준으로 사상 최대 하루 낙폭을 기록했다.


시장은 코로나19에 주목했다. 당장 코로나19의 미국 지역사회 전파 가능성이 시장을 강타했다. CNBC에 따르면 전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캘리포니아주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가 어떤 경로로 감염됐는지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CDC는 “코로나19의 지역사회 전파일 가능성이 있다”며 “이 경우 미국의 첫 번째 사례”라고 강조했다. 지역사회 전파는 감염원을 알지 못하는 것으로 바이러스 확산이 가속할 수 있다는우려를 자아내는 요인이다.

캘리포니아주는 이날 브리핑에서 최소 8,400명에 대해 코로나19 위험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혀 시장의 긴장을 더 키웠다. 캘리포니아주 보건 담당자는 다만 “현재 상황은 유동적”이라면서 “미국 대중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낮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 내부. /AFP연합뉴스뉴욕증권거래소(NYSE) 내부. /AFP연합뉴스



페이스북은 코로나19 우려로 연례 소프트웨어 개발자 콘퍼런스 ‘F8’을 취소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미국 기업 순이익 증가율이 0%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골드만은 S&P 500 지수가 2,900선까지 더 내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금융시장에서 안전자산으로의 도피 움직임은 심화했다. 미 국채시장에서 10년물 금리는 장중 한때 1.25% 선 아래로 떨어지며 저점을 더 낮췄다. 10년 금리는 이후 낙폭을 다소 줄이는 흐름을 보였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월에 당장 금리를 내릴 것이란 시장 기대도 치솟았다. 4월까지 한 차례 이상 금리를 내릴 것이란 전망은 90%에 육박했다.

관련기사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대체로 양호했지만 코로나19 공포를 달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미국의 지난해 4·4분기 성장률 잠정치는 2.1%로 속보치에서 변화가 없었고 시장 전망에도 부합했다. 미 상무부는 1월 내구재수주 실적이 전월 대비 0.2%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조사치 1.5% 감소보다 양호했다. 기업 투자 지표인 항공기를 제외한 비국방 자본재 수주는 1월에 전월 대비 1.1% 증가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코로나19 공포가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에센트 프라이빗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톰 헤인린 글로벌 투자 전략가는 “단기적으로 극도로 조심스러운 상황”이라며 “코로나19 전문가도 없는 것 같으며 이런 상황을 이전에 본 적이 없다”고 우려했다

국제유가는 급락세를 이어갔다. 코로나19가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이번 주 4거래일 연속으로 2~3%씩 급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4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는 전날보다 배럴당 3.4%(1.64달러) 하락한 47.0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5.8% 폭락하면서 지난해 1월 이후로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WTI는 이번주 들어 배럴당 6달러 이상, 12% 가까이 폭락한 상태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4월물 브렌트유도 전날보다 2.66%(1.42달러) 내린 52.01달러에 거래됐다.

금값은 약보합권에 머물렀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금은 전날보다 온스당 0.04%(0.60달러) 내린 1,642.5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뉴욕=김영필특파원 susopa@sedaily.com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