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교수는 이날 국립중앙의료원 연구동에서 열린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기자 브리핑에 참석해 “재확진된 25번 환자(73세 여성)가 고령이어서 면역력이 잘 형성되지 않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실 검사 등 평가를 진행 중”이라며 “(검체 채취 등) 검사를 잘못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들여다보고 있다”고 전했다.
25번 환자는 지난달 22일 퇴원 이후 기침·가래가 약간 있어 모니터링차 연락한 보건소 직원에게 증상을 이야기했고 26일 다시 검사를 받아 재확진돼 28일 분당서울대병원에 재입원했다. 김 교수는 환자의 상태에 대해 “약간의 가래·기침이 있을 뿐 양호한 편”이라며 “(1차 확진 때) 전파자였던 아들·며느리가 지금도 격리음압 병상에 입원 중이고 퇴원 후 자가격리지침도 잘 지킨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오명돈 중앙임상위원장(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은 이와 관련, “호주 연구팀이 코로나19 환자도 다른 바이러스 감염자와 마찬가지로 한 번 감염되면 항체·면역세포가 생기고 최소한 3~4주는 재감염이 안 된다는 학술논문을 발표했다”며 검사 오류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지금은 상·하기도 면봉 검체와 가래(객담)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있는지 알아보는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해 24시간 간격으로 2회 연속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으면 격리해제 대상으로 분류한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센터장은 “(결론이 어느 쪽으로 나든) 코로나19 감염이 상기도→하기도→폐 순으로 진행되며 후반에는 혈액·대소변에서도 바이러스가 검출되므로 퇴원 전 혈액·대소변 검사도 하는 쪽으로 격리해제·퇴원기준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